압정에 박힌 신발굽, 혈액에 의한 감염 우려는?
압정이 신발굽에 박혔습니다 그리고 확인해보니, 발바닥에 피자국이나 발바닥에 확연한 찔림의 흔적은없었고 또한.압정에 피가 묻지도 않았습니다 그럼 1차적으로 혈액에 의한 감염에 대한 걱정은 할 필요가 없는지요? 그리고 해당사건이 일어난지 2일이 지났는데 해당 부위에 열감 및 붓기등이 없다면 감염에 특히 혈액에 의한 매개가.된 위험은 없는걸로 간주해도 될런지요?
압정이 신발굽에 박혔습니다 그리고 확인해보니, 발바닥에 피자국이나 발바닥에 확연한 찔림의 흔적은없었고 또한.압정에 피가 묻지도 않았습니다 그럼 1차적으로 혈액에 의한 감염에 대한 걱정은 할 필요가 없는지요? 그리고 해당사건이 일어난지 2일이 지났는데 해당 부위에 열감 및 붓기등이 없다면 감염에 특히 혈액에 의한 매개가.된 위험은 없는걸로 간주해도 될런지요?
압정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지 않았고, 압정에 피가 묻지 않았다면 혈액 매개 감염에 대한 걱정은 크게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혈액 매개 감염은 주로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고, 그 손상된 부위를 통해 감염원이 체내로 들어갔을 때 발생합니다. 상처가 없다면 감염원이 체내로 침입할 경로가 없기 때문에 감염 위험은 낮아보여요. 사건 발생 후 2일이 지나도록 해당 부위에 열감, 붓기, 통증 등의 감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면, 일반적으로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상황에 대한 설명이며, 감염의 징후가 나중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이나 면역 체계에 문제가 있는 경우 감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상처 부위에 붉음, 부기, 고열, 고름 등의 감염 증상이 나타나거나, 건강에 이상을 느낀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꼭 확인해주세요.
2024 5월 / 2025 3월 검사결과 Igg 2.6 > 7.7 Igm 10.0 > 11.2 로 수치가 상승했습니다. 1. 수치가 변경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2. 음성 내에서 수치가 찝찝하게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3. 수치가 높아도 헤르페스2형에 걸린적이 없는게 맞는건가요? 4. HIV도 음성이긴한데 1.00 양성 기준 0.69로 수치가 높습니다. 왜 저렇게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헤르페스 2형 혈액검사에서 1주차부터 7주차까지 매주 검사에서 igm igg가 모두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현재 54일차에서 특별한 수포나 병변은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엉덩이와 허리가 얼얼하면서 따가운 느낌과 멍이든거 같은 묵직함이 한달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헤르페스라면 수포 전조증상일 수 있으나 한달째 지속되는건 다른 이유일까요? 아니면 헤르페스 때문일까요? 혈액검사를 매주 한 이유가 igm igg 수치를 보며 추적 관찰하기 위함이었고 특히나 초기 상승하는 igm이 7주 연속 음성인 것과 igg또한 낮은 수치로 변동이 없는 음성인 결과를 신뢰해야 하는데 신경통 같은 통증이 있으니 헤르페스가 걱정이 됩니다
의심관계 1년 3개월 후 헤르페스 증상과 비슷한 증상이 8일 나타나 9일 검사를 하고 오늘(12일) 검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결과는 음성이 나왔는데 헤르페스 2종 igm이 평균 20이긴 하지만 7수치로 높게 나왔습니다. igm은 최근 감염이라고 알고 있는데 마지막 의심관계 말고는 관계를 가진적이 없습니다. 1. igm이 높게 나온 이유가 뭔가요? 2. 만일 헤르페스가 아니라면 나머지 숫자처럼 1이 넘지 않아야 하는데 왜 넘는가요? 넘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헤르페스 보균자라던가…) 3.헤르페스가 맞다면 igg수치가 크게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4.항체가 잠복기여서 나오지 않았다면 음성으로 나올 수 있나여? 5.igm은 불확실 할수도 있다는데 그냥 안걸렸다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6. 유튜브에서 산부인과 선생님이 걸렸어도 증상이 없으면 안나올수도 있고 증상이 나타나고 그 물집이 혈액으로 들어가면 그때 혈액검사가 나올수도 있다는게 맞나요? Igm 수치가 큰 이유가 제일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