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빌리루빈 수치만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식단과의 관계는 있을까요?
총빌리루빈 수치만 높은 이유는 뭔가요? 3년간 총빌리루빈수치가 1.6-2.2 이렇게 오르락내리락하는데 식단때문일까요? 3년전부터 닭가슴살이랑 현미밥만 먹고있어서 그것때문인건지.. 간초음파 검사로는 이상 없었습니다
총빌리루빈 수치만 높은 이유는 뭔가요? 3년간 총빌리루빈수치가 1.6-2.2 이렇게 오르락내리락하는데 식단때문일까요? 3년전부터 닭가슴살이랑 현미밥만 먹고있어서 그것때문인건지.. 간초음파 검사로는 이상 없었습니다
총 빌리루빈 수치가 약간 높은 경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식단이 원인일 수도 있지만, 다른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총 빌리루빈 수치가 1.6-2.2 범위에서 변동하는 것은 경미한 변화로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정상 범위의 상한선을 약간 넘는 수준입니다. 일반적으로 총 빌리루빈 수치가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간 기능 장애: 간염, 간경변, 약물이나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 등 간 기능에 문제가 있을 때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 초음파 검사에서 이상이 없었다면 이 가능성은 낮을 수 있습니다. 2. 용혈성 질환: 적혈구가 정상보다 빨리 파괴되어 빌리루빈이 과다하게 생성될 때 용혈성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3. Gilbert's syndrome (길버트 증후군): 이는 유전적인 간 질환으로, 간에서 빌리루빈을 처리하는 능력이 약간 떨어져 있어서 스트레스, 피로, 감염, 식사 등에 의해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4. 담도계 문제: 담석이나 담도염 등 담도계의 문제도 빌리루빈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5. 약물: 일부 약물이 간에서 빌리루빈을 처리하는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식단이 원인일 수도 있지만, 닭가슴살과 현미밥만을 섭취하는 것이 직접적으로 빌리루빈 수치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그러나 영양 불균형이 간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하는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빌리루빈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다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 간 기능 검사, 용혈성 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 등을 통해 더 정밀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하다면 내과 전문의나 소화기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anti-HAV Total 22년 100.0 23년 100.0 24년 0.02 현재 총빌리루빈 수치가 2.3정도입니다 AST, ALT는 20정도 나오고 영향있을까요?
피검사를 했는데 총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 간접빌리루빈, 감마-GTP수치가 소폭 높게 나왔습니다. 그저께 과음을 하고 이틀뒤인 오늘 피검사를 했는데 그 영향이 있을수 있나요?
혈액검사를 했는데 BUN 수치가 약간 낮고 (5.5)총빌리루빈 수치가 약간 높게 (1.3)나왔네요. 간을 확인해봐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