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피임약인 센스리베를 복용중입니다.
사랑니를 발치하고 3월 20일(목)부터 3월 24일(월)까지 5일동안 나프록소정, 아목시클라정375mg, 소론도정, 알마펜정 복용했습니다.
그리고 이후에 치과에서 다른 약을 또 처방 받아 3월 25일(화)부터 3월 27일(목)까지 3일동안 나프록소정, 알마펜정, 후라시닐정을 복용했습니다.
그리고 3월 27일에서 2일 지난 3월 29일부터 휴약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소퇴성출혈도 나왔구요.
처방 받은 약 복용하는 동안은 당연히 이중피임 했습니다! 지금 현재는 위의 약들을 복용 안한지도 1주일이 지났어요! 내일 4월 5일 토요일이면 새팩 복용하는 날이라 복용할텐데
1. 처방받은 약 다 먹고 일주일 지났는데 이제 이중피임 안해도 괜찮을까요?
2. 다음팩 복용한다는 가정하에 피임효과 유지되고 있는거 맞겠죠? 약은 제시간에 잘 챙겨 먹고 있습니다!
경구피임약
error
실시간 의료상담의 모든 게시물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요. 저작권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게시물을 복제, 배포, 전송 등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로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진료가 필요한 상황인가요?
닥터나우는24시간 열려있어요!
사후피임약 관련 1개의 답변
닥터나우 의료진
닥터나우
2025.04.04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경구피임약인 센스리베를 복용중에 사랑니를 발치하였고, 발치 후 치과 처방 약을 복용하게 되었는데 관련하여 피임 관련하여 피임 효과 등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문의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경구피임약 센스리베를 복용 중이시고, 항생제와 다른 약물 복용 후 피임 효과에 대해 걱정이 되시는 것 같아요.
1. 처방받은 약 다 먹고 일주일 지났는데 이제 이중피임 안해도 괜찮을지 문의를 주셨어요.
복용하신 항생제 중 피임효과를 떨어뜨리는 약이 있을까봐, 이중피임을 하셨던 것 같아요.
복용하신 약들과 경구피임약 센스리베와 상호작용 하는 약이 있는지 조회해보았는데요.
의약정보센터 KIMS를 참고하며 말씀드리면, 면 센스리베 정과 소론도 정은 병용 시 주의가 필요한 약물로 확인이 되어요.
ethinylestradiol은(는) prednisolone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라고 상호작용이 확인되는데요.
Estrogens는 여러 기전을 통해 prednisolone과 그 전구약물들의 청소율을 감소시켜, prednisolone과 그 전구약물들의 혈청 농도 및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prednisolone과 estrogen-포함 호르몬 피임약을 병용했을 때, prednisolone의 AUC가 수 배 증가했다. 또한 한 연구에서는 prednisone에 의한 이상반응(예: 다모증, 얼굴 및 중심성비만)이 그 청소율 감소와 직접 비례함을 밝혀냈다. 병용 투여하는 동안, 환자에게서 prednisolone과 그 전구약물들의 효과가 증가하는지 모니터링한다. 라고 설명이 되어 있어요.
즉, 두 약물 사이에 상호작용은 있지만 피임효과를 떨어뜨리거나 에스트로겐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스테로이드 제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부분이어서 사실 복용하는 약들이 의해 피임효과가 떨어지지는 않았을 것으로 판단되어요.
따라서, 휴약기 이후 새 팩을 시작한다면, 피임효과는 계속 유지되었을 것이므로 이중피임을 하지 않아도 되실 것 같아요.
2.네, 피임 효과는 유지되고 있어요. 약을 제시간에 잘 챙겨 먹고 계시고, 복용하신 항생제들은 피임약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정상적으로 휴약기를 7일 갖고 다음 팩을 이어 복용한다면, 피임효과는 잘 유지되고 있다고 보시면 돼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아래, 추천해 드리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세요! '◡'❀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선생님이 추천한 콘텐츠예요
헷갈리기 쉬운 "경구피임약" 복용법부터 종류, 부작용, 피임률, 불임에 관해
올바른 경구피임약 복용법, 종류, 부작용, 불임, 부정출혈, 자주 묻는 질문까지!
'실시간 의료상담' 에서의 답변은 의료진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참고용 정보 제공입니다. 정확한 개인 증상 파악 및 진단은 의료기관 내방을 통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