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적 혈뇨로 수년째, 어떤 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많은 양은 아니지만 현미경적 혈뇨가 수년째 보입니다. 단백뇨는 없는데 어떤 검사를 받아보면 좋을까요?
많은 양은 아니지만 현미경적 혈뇨가 수년째 보입니다. 단백뇨는 없는데 어떤 검사를 받아보면 좋을까요?
현미경적 혈뇨가 수년째 지속되고 있다면, 원인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소변 검사: 반복적인 소변 검사를 통해 혈뇨의 지속 여부와 다른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2. 혈액 검사: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혈액 내 크레아티닌 수치와 같은 신장 기능 지표를 확인합니다. 단백뇨가 없다고 해서 신장 문제가 전혀 없다고 보는 것은 아니에요. 일부의 증상일 뿐 정확하게는 혈액검사를 포함한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3. 신장 초음파: 신장과 비뇨기계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4. 전산화 단층촬영(CT) 또는 자기공명영상(MRI): 신장, 요관, 방광 등의 비뇨기계에 대한 더 자세한 영상을 얻기 위해 실시할 수 있습니다. 5. 방광경 검사(시스토스코피): 방광 내부를 직접 보면서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6. 신장 조직 검사(신장 생검): 신장 조직의 소량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신장의 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합니다. 현미경적 혈뇨의 원인은 다양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비뇨기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장 내과 혹은 비뇨의학과 진료 보시고 원인 알아보시는 방법이 좋을 것 같아요.
꼭 확인해주세요.
23살 남자인데요 일시적으로 현미경적 혈뇨가 발견될수 있나요? 5월 소변검사에서 현미경적 혈뇨가 많이 발견 되었었다고 하고, 8월 건강검진 소변검사(단백뇨 검사)때는 혈뇨가 발견 되었었다는 등 별 말 없었습니다. 그리고 저번주에 혈뇨 검사한게 오늘 문자가 왔는데 혈뇨가 발견 안 되었다고 해서요 일시적으로 혈뇨가 나올수 있나요?
피로감이 심한 상태에서 한 번 사정하면 다음날 소변에서 현미경적 혈뇨가 발견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일주일전 밤에 소변을 보면서 엄청난 통증과 함께 피가 나왔습니다 ㅠ 다음날 아침 병원에 가서 항생제 처방을 받고 4일차에 소변검사를 다시했는데요 , 염증수치는 없는데 현미경적혈뇨가 +50이 나온다고 합니다 .. 문제는 작년 재작년에도 가끔 현미경적 혈뇨가 양성과 음성을 오가서 매우 걱정이 되는 상황인데요 .. 제가 42세인데 작년 검진에서 사구체여과율 84 , 크레아티닌수치0.8 이 나온 상황입니다 제 나이에 너무 적은 수치 같아서요 .. 저와 같은 상황일 경우 사구체신염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인지 조심스레 문의드립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