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이도염 진료 후 소독을 하지 않은 상태로 귀속에 넣었을 때 에이즈감염 가능성은?
오늘 시골의원에 외이도염진료차 갔는데 외이경인가 그걸 소독도 안한상태로 귀속에 넣어서 진료했는데 혹시 에이즈감염 같은게 감염되지 않을까요? 귀속을 보는 환자가 자주오지않아서 소독을 안했다고 죄송하다 그러네요,,오늘은 저이전에 귀가아파서 온 환자는 없었다고 그러네요
오늘 시골의원에 외이도염진료차 갔는데 외이경인가 그걸 소독도 안한상태로 귀속에 넣어서 진료했는데 혹시 에이즈감염 같은게 감염되지 않을까요? 귀속을 보는 환자가 자주오지않아서 소독을 안했다고 죄송하다 그러네요,,오늘은 저이전에 귀가아파서 온 환자는 없었다고 그러네요
외이도염 진료 중 사용하는 외이경이 소독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되었다면 감염에 대한 우려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은 특정 조건 하에서 전파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HIV는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모유와 같은 특정 체액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된 체액이 다른 사람의 혈류나 점막(예: 입, 질, 항문)에 직접 접촉해야 합니다. 외이경을 통한 HIV 전파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외이경이 이전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과 오염되었고, 그 오염된 부분이 귀의 상처나 점막과 접촉했다면 이론적으로는 감염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방식으로 HIV가 전파된 사례는 매우 드물며, 대부분의 의료 환경에서는 엄격한 감염 관리 절차를 따르고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모든 환자를 위해 재사용 가능한 의료 기구를 철저히 소독하는 것이 표준 절차입니다. 만약 의료기관에서 이러한 기본적인 소독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걱정이 되신다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실 수 있습니다: 1. 해당 의료기관에 문제를 제기하고, 필요한 경우 보건 당국에 신고하십시오. 2. HIV를 포함한 혈액 매개 감염병에 대한 검사를 받으십시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HIV가 우리 몸에 들어와도 6~12주 정도가 지나야 항체가 형성되고, 항체가 형성되어야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알 수 있어요. 3.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지 논의하십시오. HIV에 대한 걱정이 크시다면, 빠른 시일 내에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어제 비대면 진료로 외이도염 진료 받고, 항생제 약이랑 귀에 넣는 약 처방 받았는데 약 먹은 뒤에도 통증이 더 심해지는 거 같고 진물+가려움이 더 심해졌는데 혹시 외이도염 진단을 잘못 받은 걸까요 ...? 붓기도 너무 심하고, 귀 위쪽부터 귀 아래 목까지 불편감이 너무 심해요
심하지않은 외이도염 몇주 치료중이고 거의 다나았다고하셔서 남은 약물만 귀에 계속 넣고 뷸편하면 다시 오라고하셨습니다 근데 간지러운건 잘없는데 가아끔 가다가 갑자기 왼쪽 오른쪽랜덤으로 통증 ?한번짧게 느껴질때가 진짜 가아아끔 있어요 병원에 다시 가봐야할까요?.... 그리고 외이도염 약 넣으면서 치료할때 약 넣고 귀 말려줘야하나요??
병원에서 외이도염이라고 했는데 원래 외이도염걸리면 씹을때도 귀가 아픈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