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조기수축 약 복용 꼭 해야 하나요?
심실조기수축으로 약을 복용하라는데 해야하나요? 의사분이 심장 초음파 했을때는 펌프력이 약하다고만 말했었는데 3일 홀터 검사 이후에 약을 처방하셨는데 먹어야하나요? 근거는 심실빈맥 7초 정도 나타났다고 하시는데.. 심각한건가요? 운동으로 할수는 없을까요? 약은 부작용 때문에 먹기 싫습니다..
심실조기수축으로 약을 복용하라는데 해야하나요? 의사분이 심장 초음파 했을때는 펌프력이 약하다고만 말했었는데 3일 홀터 검사 이후에 약을 처방하셨는데 먹어야하나요? 근거는 심실빈맥 7초 정도 나타났다고 하시는데.. 심각한건가요? 운동으로 할수는 없을까요? 약은 부작용 때문에 먹기 싫습니다..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말씀하신 걸 보면 심장 초음파에서 펌프력이 약하다고 들으셨고, 3일 동안 부정맥 검사를 했더니 심실빈맥이라는 빠른 심장 박동이 7초 정도 있었다고 해서 약을 처방받으신 상황이시네요.
지금 결과는 그냥 흔한 심장 두근거림보다는 조금 더 신경 써야 하는 상황이에요.
특히 심장이 약해진 상태에서 이런 부정맥이 생기면, 드물게는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위험까지도 생길 수 있어서, 의사 선생님이 예방 차원에서라도 약을 권하신 걸 거예요.
"꼭 약 먹어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답을 드리자면, 지금처럼 심장이 약하고 부정맥이 있다는 소견이 있다면 일단은 약을 복용하는게 안전한 선택이에요.
부작용이 걱정되시는 건 충분히 이해돼요.
하지만 요즘 나오는 부정맥 약들은 대부분 부작용이 많지 않게 되어 있어서, 처음엔 저용량부터 시작해서 몸에 맞는지 확인하면서 복용하실 수 있어요.
운동이나 식생활 개선도 물론 중요하지만, 지금 상태는 운동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닌 것으로 보여져요.
오히려 잘못된 운동이 심장에 더 무리를 줄 수 있거든요.
약을 바로 시작하기 망설여진다면, 담당 의사 선생님께 “꼭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하는지”, “부작용이 적은 약은 없는지”, “운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여지는 없는지” 다시 한번 물어보셔도 좋아요.
정리하면, 지금 상태는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만 그렇다고 그냥 두기엔 위험이 있을 수 있어서 의사 선생님 말처럼 약을 드시는 게 현재로선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너무 불안해하지 마시고, 의사 선생님과 충분히 상의하면서 천천히 시작해보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심실조기수축 심각한건가요? 심방세동,빈맥보다 심각한가요? 꼭 병원가야되나요? 13살입니다
10살 여아 어제 코로나확진판정 기저질환으로 심실조기수축-양성부정맥으로 매년 추적관찰중입니다 지금 심장박동수 체크해보니 1분에 120이 나오는데 괜찮은걸까요? 현재 열은 38.2 입니다
현재 술담배, 카페인 안하는 20대인데 심실조기수축 생긴지 5년 됐어요. 작년 홀터에선 심실조기수축이 몇백개, 심방조기수축은 적게 있었어요. 심실조기수축이 심할 때는 밤낮, 안정시에도 매일 느껴지는데 홀터할 땐 안정시엔 괜찮았고 빠르게 걷거나 하면 나타나고 괜찮았을 때였어요. 근데 오늘 낮에 앉아 있었는데 두근 꿀렁거림이 빠르게 느껴져서 워치로 재봤는데 심실조기수축이 연달아서 6~7번 온 것 같아요. 뒤늦게 해서 3번만 찍혔는데 심실조기수축이 3번 이상 오면 심실빈맥으로 위험하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30초 내로 끝나서 비지속성 심실빈맥일까요? 직후로는 가슴이 좀 답답하고 핑도는 어지럼증도 느꼈고, 뒤통수가 무거우면서 숨이 찼는데 지금은 숨차지 않아요. 이게 맞다면 오늘 조기수축 연달아 오는걸 두 번 느꼈는데 다시 병원가서 홀터 해봐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