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워치 ECG 측정의 정확도와 심박수 측정, 두근거림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갤럭시워치 ECG측정은 얼마나 정확할까요..? 계속 판정불가이고 심박수?bpm은 100을 넘어여 두근거림이 계속있어여
갤럭시워치 ECG측정은 얼마나 정확할까요..? 계속 판정불가이고 심박수?bpm은 100을 넘어여 두근거림이 계속있어여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스마트 워치의 심전도 측정은 기본적인 리듬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순 있지만,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전문적인 심전도 장비와는 비교 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지며, 스마트워치로의 심전도 측정은 심장의 전체적인 활동을 파악 하는데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져요. 일반 적인 심방동수는 60-100회가 정상 범위지만, 개인이 가진 질환이나 체질, 운동을 많이 하시는 분이라면 심박동수가 느리게 혹은 상황에 따라 빠르게 측정 될 수도 있어요. :)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갤럭시 워치 등으로 측정한 심박수도 정확하다고 할 수 있나요?
스마트워치 혈압측정을 일반혈압계로 잘 보정하여도 측정상황에 따라 혈압을 다르게 측정하게된다는건 아는데 이에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번호별로 반드시 구체적인 수치와 함께 상세히 설명해주시기바랍니다. 1.워치차면 손목뼈에 닿아있어 그곳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가 있죠. 그 센서와 닿아있는 손목에 물기가 조금스며있고 유분기가 조금 묻어있으면 혈압측정시 수축기 이완기 혈압은 각각 수치상 몇정도 차이를 보이게되나요 , 수치가 커지나요 작아지나요. 2.워치를 보정했을때의 높이랑 비교해서 팔을 올리거나 내려서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수치상 혈압측정한 결과가 수축기 이완기 각각 몇정도 오르내릴수가 있을까요? 3.수면중 실시간 산소포화도 수치가 드문드문 끊겨있다는것은 정확도가 떨어지는 측정환경이란게 맞을까요? 전체수면시간중 3퍼센트정도 산소포화도가 끊겨있는 지표에서라면 측정된 산소포화도의 오차범위는 수치상 어느정도일까요? 기준은 측정결과 산소포화도88-98입니다.
2학년 대학생입니다. 일과 도중 심장 답답함, 흉부가 굳은 느낌, 호흡이 막히는 느낌과 함께 갤럭시 워치 4에서 ECG 심방세동이 2-3번 정도 측정되었습니다. 어릴때도 이런 경우가 없었던 것 같은데 지난 몇주간 빈도가 심해지고 있어요,, 병원에 가봐야 할까요? 가야 한다면 어떤 분과에서 진료를 봐야할까요? 아! 그리고 심전도 측정 당시 심박수 수치가 80에서 120-130으로 단번에 바뀌기도 했어요. 일반적인 측정에서 변하는 수치보다 변화가 심합니다. 판정 불가한 측정도 지속적으로 나왔지만 일단 심방세동 판정본만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