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에 헤르페스 환부 접촉 시 전염 위험은?
헤르페스 포진이 나서 낫고있는 사람의 환부를 만진 손으로 제 팔 긁은 상처에 바세린을 발라주었는데 이후 사실을 깨닫고 바로 비누로 2회 세척 후 혹시 모를 바이러스 제거를 위해 포비돈을 발라주었습니다. 전염 가능성이 높을까요? 상처라 걱정되네요.
헤르페스 포진이 나서 낫고있는 사람의 환부를 만진 손으로 제 팔 긁은 상처에 바세린을 발라주었는데 이후 사실을 깨닫고 바로 비누로 2회 세척 후 혹시 모를 바이러스 제거를 위해 포비돈을 발라주었습니다. 전염 가능성이 높을까요? 상처라 걱정되네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헤르페스 포진이 있는 환자의 환부를 만진 손으로 질문자님의 팔의 상처에 바세린을 바르신 후 전염의 위험성이 있을 까봐 걱정이 되시는 것 같아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전염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으나 높지는 않습니다.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혹시 헤르페스 포진이 난 후 낫고 있는 분이 1형과 2형 중 바이러스에 감염되신 걸까요?
만약, 헤르페스 2형 감염자의 경우에는 대부분 성적인 접촉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때문에 단순 접촉을 한 경우나 수건, 수저 등을 공유하였을 경우에는 전염 가능성이 매우 낮을 수 있어요.
헤르페스 1형 감염자라면, 주로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입맞춤을 하는 등 직접적인 접촉이 아니라 해도, 같은 식기나 수건을 쓰는 일을 통해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처 부위에 접촉했다면 감염의 가능성이 있어요.
하지만 헤르페스 포진이 이미 낫고 있는 상태고 딱지가 진 상태였다면 감염의 위험성이 낮을 수 있어요.
사실을 깨닫고 비누로 2회 세척 후 포비돈을 발라주셨다고 하셨는데요.
후처치를 빠르게 진행하신 것이라면 바이러스가 제거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감염의 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어요.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경과관찰해보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 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헤르페스, 이름은 들어봤지만 1형과 2형의 정확한 차이를 잘 모른다면 클릭해 보세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헤르페스 1형을 성기에 보유했을 경우, 성기 접촉으로만 전염이 가능한가요? 헤르페스 1형과 2형의 증상 및 위험성 차이는 무엇인가요? 헤르페스 1형의 전염성을 낮추는 방법은? 같은 보균자일 경우에도 전염이 될 수 있나요?
성병 환자의 피부발진을 손으로 만지거나 접촉했을때 전염될 가능성이 있나요? 성병은 무조건 성접촉을 해야 전염되는건가요? 변기 공유나 일상적인 환부 접촉도 전염될 가능성이 있나 해서요
애인 손가락에 사마귀가 났는데 아무래도 손을 많이 잡으니까 환부 접촉이 많이 될거같은데요 이경우 제가 전염될 가능성이 높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