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성교로 매독 감염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요?
구강성교로 매독에 감염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구강성교로 매독에 감염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구강성교를 통한 매독 감염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매독은 주로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성병으로, 매독에 감염된 사람의 생식기, 항문, 또는 입술에 있는 매독 궤양(샹크르)이나 발진에 직접 접촉할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구강성교 시에도 이러한 궤양이나 발진에 입이나 입술이 접촉하면 감염될 위험이 있습니다.
감염 가능성은 파트너가 매독의 활성기(특히 1기나 2기)에 있는지, 그리고 궤양이나 발진이 구강에 접촉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매독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성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성행위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병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 즉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검사와 필요한 경우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또한, 매독은 실제로는 매독이 아니지만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오는 위양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어 std 검사 뿐만 아니라 혈액검사를 통해 확인하셔야 해요. 성병 잠복기는 성병 균주의 종류가 다른 만큼 적절한 검사 시기 역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때문에 관계 후 바로 검사를 하기 보다는 성관계 후 최소 4주 정도 후에 검사를 받는 것을 권장드리며, 성병 감염이 의심되는 관계가 있었다면 확실히 검사를 받기 전까지는 당분간 성관계를 자제하시는 것을 권장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클라미디아가 구강성교로도 감염이 가능한데 혹시 구강성교로 감염된 게 질로도 나타날 수 있나요?
작년 5월이 마지막 성관계이고, 올해 6월 28일구강성교를 하였습니다.(작년 5월을 마지막으로 성관계는 둘다 없었고, 구강성교만 했습니다.) 남자친구가 작년 7월 (솔,소변검사) std 12종음성, 올해 7월2일에 std 12종(소변검사) 음성, 소변검사 7월15일 std12종 에서 음성, 7월30일 매독 혈액검사 음성을 판정받았습니다. 저는 올해 헤르페스를 진단받고 치료 후 7월15일에 std 음성, 7월23일에 매독 피검사를 시행했는데 음성이였습니다. 남자친구랑 사귄지 2년이 되어가는데 그동안 저랑만 관계를 했다면 6월28일에 했던 구강성교에서 매독을 걱정하지않아도 될까요? 만약 감염이 됐다면 그전에 나오지 않았을까요...?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헤르페스2형을 7월 8일에 판정을 받았는데 남자친구가 7월2일에 헤르페스 피검사 음성이 나왔습니다.저는 남자친구가 첫관계였구요.. 혹시 매독도 그럴까봐 걱정되는 마음에 지속적으로 묻는점 죄송합니다ㅠㅠ
작년 5월이 마지막 성관계이고, 올해 6월 28일 구강성교를 하였습니다.(작년 5월을 마지막으로 성관계는 둘다 없었고, 구강성교만 했습니다.) 남자친구가 작년 7월 (솔,소변검사) std 12종음성, 올해 7월2일에 std 12종(소변검사) 음성, 소변검사 7월15일 std12종 에서 음성, 7월30일 매독 혈액검사 음성을 판정받았습니다. 저는 올해 헤르페스를 진단받고 치료 후 7월15일에 std 음성, 7월23일에 매독 피검사를 시행했는데 음성이였습니다. 남자친구랑 사귄지 2년이 되어가는데 그동안 저랑만 관계를 했다면 6월28일에 했던 구강성교에서 매독을 걱정하지않아도 될까요? 만약 감염이 됐다면 그전에 나오지 않았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