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좀으로 발톱이 안 자랄 때 치료법은?
무좀이 생긴이후로 발톱의 한부분이 안자라는데 무좀일까요? 어떻게 치료받아야할까요? 저 부분만 질라내면 건조해져서 더 안자라는거같아 이렇게 잘라내지않고있는데 이대로 계속 놔두면 나을 수도 있을까요?
무좀이 생긴이후로 발톱의 한부분이 안자라는데 무좀일까요? 어떻게 치료받아야할까요? 저 부분만 질라내면 건조해져서 더 안자라는거같아 이렇게 잘라내지않고있는데 이대로 계속 놔두면 나을 수도 있을까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발톱이 자라지 않는 듯하여, 많이 걱정되셨겠네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계속 방치하면 오히려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무좀은 피부사상균에 의해 피부와 피부 부속기에 발생하는 모든 표재성감염을 의미합니다.
일부 흰 부분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서 무좀이라면 지간형이거나 인설형일 가능성이 높아보여요.
다만 가려움 증상이 심하다고 하신 걸로 보아 지간형일 가능성이 더 높아보여요.
지간형은 발 백선 중 가장 흔한 임상 형태입니다.
흔히 가려움증이 동반되고 불쾌한 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발가락 사이의 피부가 희게 짓무르고 균열이 생기며, 건조되면 각질이 보이고, 양측 발가락과 발바닥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
손상된 피부를 통해 이차적인 세균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다만, 발에 피부병변이 생겼다고 모두 무좀은 아니므로 치료 전에 반드시 진균 검사를 통한 확진이 필요합니다.
무좀을 확진 받았다면 항진균제 치료가 가장 기본이 됩니다.
발 백선은 치료 후에도 양말이나 신발 등에 남아있던 피부사상균에 의해서 재발하는 경우가 많고, 손발톱백선증이 동반되어 있을 때 손발톱에서 재감염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현재 발톱이 계속 들뜨는 것을 보아 조갑박리증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조갑박리증은 손발톱이 피부에서 벗겨 떨어지는 질환을 말해요.
손발톱이 잘 깨지거나 부서지기도 하며, 손발톱 끝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요.
경미한 증상이라면 일반적으로 통증이 느껴지진 않지만, 증상에 따라서 손발톱이 누렇거나 갈색으로 변색이 되는 등 변형이 일어나기도 해요.
간혹 이러한 특성 때문에 무좀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조갑박리증은 손발톱이 피부층 사이와 공간이 생겨 들뜨면서 생기는 증상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답니다.
조갑 박리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도 달라질 수 있어요.
조기에 적절한 진단을 통해 치료가 이루어지면 피부에 세균이나 곰팡이로 인한 이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답니다.
손발톱은 손상 이후 다시 완전히 새로 자라나기까지 수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요.
손발톱이 손상되고 나면 다시 자라나는 손발톱에 영양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약해지거나 부서질 수 있고, 변형이 오거나 끝까지 자라지 못해 사라지게 될 수도 있답니다.
따라서, 조갑박리증을 방치하게 되는 경우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영구적으로 손발톱 형성이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주의해서 관리를 해주셔야 해요.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피부과에 방문해 진료를 보시면 좋을 듯해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발톱 색깔이 진해지고 있다면 발톱무좀 증상을 의심해 보세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발톱이 안자라요, 처음에는 잘 부서지고 갈라지고 그러다가 계속 잘리고 떼어지고 그랬어요. 무좀인것같은데 잘 모르겠어요
발톱무좀이 치료를한후 완치가되면 새로나는발톱은 균이 없이 자라는건가요?? 제가듣기로는 발톱무좀이 걸린발톱은 아무리잘라도 다시균이있는상태로다시자란다고들었는데 완치가되면 깨끗한발톱이 자라는지 궁금합니다!
축구하다가 빨톱을 다쳤는데 시간이 지난 후 확인해보니 다친부분 아래에 새롭게 발톱이 자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발톱이 일부분만 새로 자랄 수 있나요? 아니면 무좀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