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피임약 복용 후 부정출혈, 생리 불순, 임신 가능성 - 병원 방문이 필요한가요?
11월 16일에 생리가 끝났고 17일에 사후피임약을 먹었 어요 그리고 11월 22일부터 24일인가 25일쯤까지 부정출혈했구 지금까지 생리를 안하고 있어요 약 먹고 3주 뒤에 임테기 해봤는데 한줄 나왔구요 혹시 병원에 가 봐야하나요? 평소에도 생리 주기가 안맞긴 했어요 그리고 생리불순으로 산부인과를 가면 어떠한 검사나 진료를 해주시나요? 혹시 약도 받아오나요?
11월 16일에 생리가 끝났고 17일에 사후피임약을 먹었 어요 그리고 11월 22일부터 24일인가 25일쯤까지 부정출혈했구 지금까지 생리를 안하고 있어요 약 먹고 3주 뒤에 임테기 해봤는데 한줄 나왔구요 혹시 병원에 가 봐야하나요? 평소에도 생리 주기가 안맞긴 했어요 그리고 생리불순으로 산부인과를 가면 어떠한 검사나 진료를 해주시나요? 혹시 약도 받아오나요?
사후피임약 복용 후 부정출혈이나 생리 불순은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중 하나로, 사후피임약은 고용량의 호르몬을 포함하고 있어서 생리주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복용 후 3주가 지나 임신테스트에서 음성 반응이 나왔다면 임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생리가 없는 상태라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부정출혈이나 생리 불순이 지속되는 경우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2. 임신 테스트 결과에도 불구하고 임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위해 3. 평소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경우, 그 원인을 찾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산부인과 방문 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사나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병력 청취: 생리 주기, 성생활, 피임 방법 등에 대한 질문 - 신체 검사: 골반 검사를 포함할 수 있음 - 혈액 검사: 호르몬 수치 확인 - 초음파 검사: 자궁과 난소의 상태를 확인 검사 결과에 따라 생리 불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호르몬 치료나 다른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생리 불순의 원인이 스트레스, 체중 변화, 호르몬 불균형 등 다양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 방문을 결정하시기 전에 현재 상태와 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고려가 필요합니다. 만약 불안하거나 건강에 대해 우려가 있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사후피임약은 11/22에 복용했고 그 후 주기적인 임테기 검사에도 비임신이라 떴습니다 하지만 생리불순이 너무 심합니다 ㅠㅠ 정상적인 생리는 1월에 한번 뿐이였고 나머지는 다 건너뛰었습니다 병원에 가보는 게 좋을까요? 어떤 진료를 받게되고 진료기록이 남는 지 궁금합니다
임테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판매하는곳이 없음..) 사후피임약 섭취 후 부정출혈이 임신했을때 나오는건가요? 먹기 전에도 생리불순이었는데, 생활 패턴이 불규칙하여 생리 불순이 또 걱정됩니다. 1. 부정출혈=임신일까요? 2.사후피임약 섭취 전에 생리불순이었는데, 이번것이 부정출혈이 아니고 생리라면, 다시 생리불순이 올수도 있나요?
경구피임약 3달복용후 휴약기 가지고 2일 복용후 다음날 사후피임약 복용후 다음주 부정출혈이 있었고 사후피임약 복용후 3주 지났는데 생리를 하지않습니다 생리불순이나 지연 또는 무월경등의 가능성이 있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