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coplasma genitalium과 Ureaplasma parvum 진단의 성병 여부와 세균성 감염 여부는 어떻게 구분되나요?
Mycoplasma genitalium Ureaplasma parvum 진단이 성병일수도 있고 그냥 세균성 감염일수도 있는건가요?
Mycoplasma genitalium Ureaplasma parvum 진단이 성병일수도 있고 그냥 세균성 감염일수도 있는건가요?
Mycoplasma genitalium과 Ureaplasma parvum은 성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세균이지만, 동시에 성병이 아닌 세균성 감염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두 세균은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지만, 동시에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비뇨생식기 점막에 공생균으로 존재하며, 상재균이기 때문에 성관계 없이 증상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알려져 있어요. Mycoplasma genitalium은 비교적 새롭게 인식된 성병 원인균으로, 요도염, 자궁경부염, 골반염증성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세균은 장기간에 걸쳐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무증상 감염자가 다른 사람에게 전파할 위험이 있습니다. Ureaplasma parvum 역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세균으로, 요도염이나 자궁내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세균은 인간의 정상적인 생식기관의 세균총에 속하기도 하므로, 모든 감염이 증상을 일으키거나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세균성 감염이 성병으로 분류되는지 아니면 단순한 세균성 감염으로 분류되는지는 감염 경로, 증상의 유무, 그리고 감염된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었고, 성병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난다면 성병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 접촉과 관련 없이 감염되었거나,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단순한 세균성 감염으로 볼 수 있습니다. 진단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성병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파트너에게도 검사와 치료를 권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Mycoplasma genitalium, Ureaplasma parvum 성병노출시 남여증상과 세균성감염 노출시 남여증상을 알고싶어요
Mycoplasma hominis Ureaplasma parvum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의 감염경로와 잠복기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염검사 결과 이렇게 양성이 나왔는데 병원가서 치료를 받아야하나요? 파트너도 같이가야하나요? 성병인가요? mycoplasma hominis, ureaplasma urealyticum, ureaplasma parvum, gardnerel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