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조기수축 0.7%면 추가검사 필요할까요?
최근 들어 잘때 심장이 두근거려서 48시간 홀터검사시행했는데 평균심박수 83이고 자는시간에는 66~110까지 심박수가 왔다갔다합니다. 심실조기수축부정맥이 있고 0.7%나왔습니다. 괜찮은걸까요? 아니면 추가검사가필요할까요?
최근 들어 잘때 심장이 두근거려서 48시간 홀터검사시행했는데 평균심박수 83이고 자는시간에는 66~110까지 심박수가 왔다갔다합니다. 심실조기수축부정맥이 있고 0.7%나왔습니다. 괜찮은걸까요? 아니면 추가검사가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내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심실조기수축 0.7%와 수면 중 심박수 변동에 대해 걱정하고 계신 상황이 이해됩니다.
일반적으로 심실조기수축은 건강한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0.7%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입니다. 대부분의 의료진은 전체 심박동의 1% 미만의 심실조기수축은 임상적으로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 중 심박수가 66~110으로 변동되는 것은 수면 단계나 꿈을 꾸는 상태(렘수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완전히 비정상적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최근 들어 잘 때 심장이 두근거리는 증상이 새롭게 나타났거나 불편감이 지속된다면, 순환기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현재 검사 결과의 의미와 추가 검사 필요성에 대해 논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증상이 악화되거나 가슴 통증, 심한 호흡곤란, 실신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10살 여아 어제 코로나확진판정 기저질환으로 심실조기수축-양성부정맥으로 매년 추적관찰중입니다 지금 심장박동수 체크해보니 1분에 120이 나오는데 괜찮은걸까요? 현재 열은 38.2 입니다
어제 24시간 홀터검사를 하고 왔고 심실조기탈분극 진단을 받았습니다 빈도수는 1퍼 미만이라 하셔서 약도 안 받고 왔습니다 근데 위험한 부정맥이 아니더라도 조기수축이 3개 연속으로 오면 심실빈맥이라 위험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이건 조기수축 2개가 연속으로 온건가요 아님 중간에 정상박동이 있으니 연속으로 온 카플렛이 아닌건가요 어제 24시간 홀터검사를 하고 왔고 심실조기탈분극 진단을 받았습니다 빈도수는 1퍼 미만이라 하셔서 약도 안 받고 왔습니다 근데 위험한 부정맥이 아니더라도 조기수축이 3개 연속으로 오면 심실빈맥이라 위험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이건 조기수축 2개가 연속으로 온건가요 아님 중간에 정상박동이 있으니 연속으로 온 카플렛이 아닌건가요
현재 술담배, 카페인 안하는 20대인데 심실조기수축 생긴지 5년 됐어요. 작년 홀터에선 심실조기수축이 몇백개, 심방조기수축은 적게 있었어요. 심실조기수축이 심할 때는 밤낮, 안정시에도 매일 느껴지는데 홀터할 땐 안정시엔 괜찮았고 빠르게 걷거나 하면 나타나고 괜찮았을 때였어요. 근데 오늘 낮에 앉아 있었는데 두근 꿀렁거림이 빠르게 느껴져서 워치로 재봤는데 심실조기수축이 연달아서 6~7번 온 것 같아요. 뒤늦게 해서 3번만 찍혔는데 심실조기수축이 3번 이상 오면 심실빈맥으로 위험하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30초 내로 끝나서 비지속성 심실빈맥일까요? 직후로는 가슴이 좀 답답하고 핑도는 어지럼증도 느꼈고, 뒤통수가 무거우면서 숨이 찼는데 지금은 숨차지 않아요. 이게 맞다면 오늘 조기수축 연달아 오는걸 두 번 느꼈는데 다시 병원가서 홀터 해봐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