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기능 검사 시, CBC 혈구 검사도 함께 이루어지나요?
간기능 검사에 CBC 혈구 검사도 포함되느요?
간기능 검사에 CBC 혈구 검사도 포함되느요?
간기능 검사와 CBC 혈구 검사는 별개의 검사입니다. 간기능 검사는 간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AST, ALT, ALP, GGT, 총 단백질, 알부민, 총 빌리루빈, 직접 빌리루빈 등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반면, CBC 혈구 검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수치와 함께 헤모글로빈 수치, 헤파틴 수치 등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두 검사 모두 필요에 따라 동시에 진행될 수 있지만, 간기능 검사에 CBC 혈구 검사가 포함되는 것은 아닙니다. 각 검사는 서로 다른 목적과 기준으로 진행되므로, 필요한 경우 병원에서 별도로 요청하게 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제가 하루에 보통 물 1~1.5리터 마시고 종종 제로사이다 500미터 마시는 편인데 2주전부터 갑자기 소변이 1~2시간마다 마려운데 1회 소변량은 정상적으로 300~400cc를 봐요 근데 가끔 500cc도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하루 소변량을 계산해보니 많이 나올 때는 2.5리터까지 나오는 편이고 화장실 자주 가니 너무 스트레스 받더라구요 그래서 신장내과가서 피검사 혈액검사에서 딱히 이상 없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요붕증 검사는 수분제한검사를 한 상태에서 해야 되지 않냐고 물어봤는데 소변이나 혈액에서 이상이 있어야 수분 제한 검사를 한다고 말씀하시던데 맞나요? 아무리 생각해도 그냥 수분만 섭취하면 뭔가 몸에서 바로 소변이 나오는 느낌이 들어요 ㅠ 그래서 제가 묻고 싶은 건 요붕증 검사를 할 때 소변이나 혈액에서 이상이 있어야 수분제한을 한 상태에서 다시 피검사 소변검사를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독감과 코로나 검사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나요?? 한다면 어떤 방식 (예를 들어 면봉을 쑤신다던가) 으로 하는지 알려주세요 ㅠㅠ
왼쪽 귀 뒤쪽 림프절이 부은거같은데요 사진에 표시한 초록색 알갱이 정도의 위치입니다 그 위치를 따라 좀 뻐근 한것같기도 하구요 그리고 정수리에 가르마 끝나는 위치 쯤도 좀 부었는데 정수리는 이런적이 종종 있긴 하거든요 근데 딱히 부은거에 상처가 있는것도 아닌데 여드름마냥 고름인지 뭔지 진물같은게 나와서 자고 일어나서 그쪽에 작게 굳어있어요 병원은 어느 과로 가야하는지, 보통 진찰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떤 약을 처방해 주시는지, 심각한 병인지 아닌지 구분하려면 어떤 검사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