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환자, 얼굴 피부에 혈액이 소량 튀었을 때 감염 가능성은 없을까요?
b형 간염 환자 어시스트 보다가 얼굴 피부에 혈액이 아주 소량 (소금 알갱이 정도) 튀었는데 이걸로는 딱히 감염이 되진 않겠죠?
b형 간염 환자 어시스트 보다가 얼굴 피부에 혈액이 아주 소량 (소금 알갱이 정도) 튀었는데 이걸로는 딱히 감염이 되진 않겠죠?
AD
B형 간염 바이러스는 혈액, 상처로 나오는 진물 같은 체액 등을 통해서 전파될 수 있어요. 피부에 아주 소량의 혈액이 튄 경우, 피부에 상처나 점막이 접촉하지 않았다면 감염 위험은 매우 낮을 것 같아요.
그러나 피부에 상처가 있거나 점막과 접촉했다면 감염 위험이 존재할 수 있어요. 피부에 상처가 없었고, 혈액이 점막(예: 눈, 입, 코 등)에 접촉하지 않았다면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혈액이 튄 부위를 즉시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는 것이 중요하며, B형 간염에 대한 예방 접종을 받았는지 여부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만약 예방 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예방 접종의 완료 여부가 불확실하다면, 가까운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고 필요한 경우 예방 접종이나 면역 글로불린 주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이 튄 사건 이후에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 기관에서 혈액 검사를 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의료 환경에서는 항상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이틀 전인가 일하다가 주사 바늘에 찔렸는데 혹시 B형 간염에 감염되진 않았을까 해서요.. 환자에게 b형 항체가 있는지는 모르겠고 골절로 입원해었던 분이었어요 12월에 2차 b형 간염 예방 접종 맞았고 2월에 중순에 혈액 검사했을 때 항체가 많았거든요 몇인지는 기억은 안 나는데 ‘>1000’이라고 떴었던 거 같아요 그래서 아직 병원에 가보지는 않았는데 혹시 항체가 있어도 감염될 수 있는지 궁금해요! 그리고 병원에 가서 혈액 검사는 다시 해 보려고 하는데 찔린지 얼마 안 되었을 때는 혈액 검사해도 항원 수치 안 나온다고 하기도 하던데 안 나올까요?? 또 B형 간염 예방 접종만 맞았는데 혈액으로 감염되는 C형에 감염될 가능성은 없을까요?
병원에서 일을 합니다 ㅜㅜ 신규라 잘몰라요 Aline교체하다가 피가 역류해서 손으로 막았는데 손에 흠뻑 다묻어버렸어요 .. 근데 그 환자가 b형간염 환자에요 … 저는 항체가 50정도있고 나중에 보니 종이에 베인듯한 상처가 있더라구여 지금 너무 걱정되고 그렇게 된지 2틀정도 흘러서 골든타임은 놓친것같고 언제까지 추적검사를 해야하고 불안에 떨어야할까요 .. 제가 감염될 확률 높을 까요 너무 불안해요
누군가의 진물, 혈액이 묻었던 바늘에 찔려 가볍게 피가 났습니다. 그 누군가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질문할 때, B형 간염, C형 간염, 매독, HIV 외에 또 어떤 걸 물어봐야 할까요? (감염내과 카테고리가 없어서 응급의학과로 분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