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 환자와 손톱깎이 공유, 감염 가능성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hiv 환자가 이용한 손톱깎이를 이용해서 손톱을 깎은 모습인데요. (평소에도 손톱을 아주 짧게 깎습니다) hiv 감염 가능성 있을까요? 피를 짜듯 손가락을 눌러봐도 피는 안나옵니다
안녕하세요. hiv 환자가 이용한 손톱깎이를 이용해서 손톱을 깎은 모습인데요. (평소에도 손톱을 아주 짧게 깎습니다) hiv 감염 가능성 있을까요? 피를 짜듯 손가락을 눌러봐도 피는 안나옵니다
안녕하세요. HIV 감염에 대한 우려로 문의하셨군요. HIV는 특정 체액(피, 정액, 질 분비물, 모유)을 통해 전달되는 바이러스입니다. 일상적인 접촉이나 공기, 물을 통해서는 전파되지 않습니다. HIV가 외부 환경에서 오래 생존하지 못하기 때문에, 손톱깎이와 같은 물건을 통한 간접 전파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손톱깎이에 HIV에 감염된 혈액이 남아있고, 그것이 직접 다른 사람의 피부에 상처를 내어 혈액과 접촉한다면 감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런 방식으로 HIV가 전파된 사례는 극히 드물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감염 위험이 매우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손가락을 눌러도 피가 나오지 않는다면 상처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HIV 감염 위험은 더욱 낮아집니다. 그럼에도 불안하시다면, 상급병원이나 보건소에서 HIV 검사를 받아보실 것을 권장드려요. HIV 항체는 2주부터 약 12주까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체 형성 시기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감염내과 진료를 통해 검사 시기를 결정해 보실 것을 안내드려요. 앞으로는 개인 위생용품은 개인별로 사용하시고, 다른 사람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한 9년정도 되었고 퍼지지 않는것과 모양으로 봐선 쥐젖이 확실한데 이거 그냥 손톱깎이 소독한다음에 잘라버려도 될까요? 너무 거슬린데 크기도 크지 않아 병원에 방문하기도 애매합니다...
손톱깎이 뒷부분(사진 첨부하였습니다)을 밟아서 왼쪽 세번째와 네번째 발가락에 찔린 상처가 생겼습니다. 피가 꽤 나서 지혈을 했고 현재는 출혈이 멈춘 상태입니다. 1. 소독이나 기타 응급처치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파상풍 위험이 있을까요? 근처에 내일 여는 병원이 있긴 한데, 주사를 맞아야 할까요?
옷을 입고 앉아도 완선환자와 같은 의자를 공유하면 완선이 감염 될 수 있나요? 재질은 패브릭 의자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