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사구체여과율에 미치는 영향은?
생리때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이 사구체여과율의 영향을끼쳐 단백뇨가 나올수있다는데 정확히 이 호르몬이 있을시 뭐때문에 영향을 끼치는건가요? 사구체여과율은 낮춘다는건가여?
생리때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이 사구체여과율의 영향을끼쳐 단백뇨가 나올수있다는데 정확히 이 호르몬이 있을시 뭐때문에 영향을 끼치는건가요? 사구체여과율은 낮춘다는건가여?
AD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생리 주기 동안 신체의 여러 생리적 변화를 유발하는 주요 성호르몬으로, 신장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구체여과율(GFR)은 신장에서 혈액을 여과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호르몬 변화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생리 주기 동안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변화는 신장의 혈류량과 여과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에스트로겐은 혈관 확장을 유도하여 신장 혈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GFR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프로게스테론은 혈관 수축을 유도하거나 신장 혈류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어 GFR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단백뇨는 사구체의 여과 기능이 손상되거나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리 주기 동안 호르몬 변화로 인해 사구체의 투과성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거나, 신장 혈류의 변화로 인해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일시적이며, 생리 주기가 끝나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단백뇨가 지속되거나 출혈량이 많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된다면, 이는 단순한 호르몬 변화로 인한 현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부정출혈이나 자궁질환, 신장 질환 등 다른 건강 문제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산부인과나 신장내과에서 전문적인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를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및 투약은 크레아티닌 사구체 여과율에 영향을 끼칠까요?
크레아티닌 수치로 보는 사구체 여과율 과 시스타틴C 수치로 보는 사구체 여과율 어느것이 더 정확한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다름이아니오라. 단백질 8.1 알부민 5.4 [5.2 기준] 그리고 크레아틴 1.12 입니다 ckd기준 83입니다 문제는 알부민 수치가 5.4로 높고, 그리고 신사구체여과율이 낮다는 점입니다. 크레아틴의 수치는 정상범위인데, 사구체여과율이 83입니다. 6월달에도 사구체 여과율이 85였습니다 그런데 두 달 후에 검사를 하니 83입니다 단백뇨나 혈뇨등은 없습니다 사구체여과율이 괜찮은지요? 그리고 두 달에 사구체여과율이 2정도 내려갔는데 문제가 있는건지요.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