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검사에서 세균 미검출, 방광염과 요로감염 의심 여부
비뇨기과에서 소변검사를 했습니다. STD검사는 아니었지만 일반 소변배양검사에서 세균 검출이 안되었답니다. 방광염, 요로감염 등은 세균 감염으로 주로 발생하는걸로 아는데 이렇게 되면 그 두가지는 의심을 하지 않아도 될까요? 전립선염일 확률이 높을까요?
비뇨기과에서 소변검사를 했습니다. STD검사는 아니었지만 일반 소변배양검사에서 세균 검출이 안되었답니다. 방광염, 요로감염 등은 세균 감염으로 주로 발생하는걸로 아는데 이렇게 되면 그 두가지는 의심을 하지 않아도 될까요? 전립선염일 확률이 높을까요?
AD
소변배양검사에서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면 방광염이나 요로감염의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하지만, 세균 감염이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긴 하지만, 이러한 질환들은 다른 비감염성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어요. 따라서 증상이 지속된다면 다른 원인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전립선염의 경우 세균성일 수도 있고 비세균성일 수도 있어서, 소변 검사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해서 전립선염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비뇨기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받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전립선염이 의심될 때 소변 검사에서 세균이 없으면 항생제 처방을 하지 않는 병원도 있으니, 의료진의 의견이나 치료 방향이 다를 수 있음을 유념하시고 필요하다면 다른 병원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평소 고혈압으로 칸타칸정 8mg 복용중입니다 소변검사에서 요비중 증가(1.037), wbc 3.6, wbc/uL 15.8로 측정되었습니다 방광염과 요로감염 증상은 없고 성관계 경험도 없는데 복용하던 칸타칸정으로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나요?
“소변검사에서 현미경적 백혈구(농뇨) 및 세균이 관찰됩니다. 관련증상 (빈뇨, 급뇨, 잔뇨감)이 있는 경우 방광염과 같은 요로계 감염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진료 받으시고, 추적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소변검사에서 잠혈반응 양성이나 현미경 관찰상 적혈구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마이오글로빈뇨, 혈 색소뇨, 약물 복용 중 이러한 소견이 관찰될 수 있으며, 금식으로 인한 탈수로 인한 소견일 수 있으 므로 재검사(소변검사)를 통해 정상여부를...(생략)” 이렇게 나왔는데 이 말이 도무지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 하겠어요ㅠㅠ 건강검진 결과지 다른 부분은 다 이해를 했는데, 소변검사부분만 뭐가 문제라는 건지 잘 모르겠는데 혹시 풀어서 설명해주실 분 계실까요??
배뇨 시 통증은 따로 없고 소변이 가끔 탁하게 나옵니다. 생식기가 뜨겁고 불편감이 있고요. 혹시 몰라 내과에 가서 기본소변검사 및 혈액검사로 신장기능검사 했는데 신장기능검사에서 이상없고 소변검사에서 염증이,나왔다고 합니다. 방광염 의심이라 약처방 받았는데, 생식기가 뜨겁고 불편한 것도 방광염 증상인가요? 다른 요로감염일 수 있다고 하던데 방광염 약 먹으면 나을 수 있나요? 항생제 처방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