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개월 아이 열 40도, 대학병원 응급실 진료 어떻게 받을까요?
곧 18개월아이 83cm/12kg 입니다. 열이 아침엔 39.1 대학병원가서 엉덩이주사 맞은후 집에왔을땐 37.8까지 떨어졌다가 오후6시부터 딱 40도를 찍었습니다. 근처 대학병원 응급실은 소아과의사가없거나, 진료를 안받는다고하는데 어떻게하면 좋을까요 물론 독감검사는 음성 나왔습니다.
곧 18개월아이 83cm/12kg 입니다. 열이 아침엔 39.1 대학병원가서 엉덩이주사 맞은후 집에왔을땐 37.8까지 떨어졌다가 오후6시부터 딱 40도를 찍었습니다. 근처 대학병원 응급실은 소아과의사가없거나, 진료를 안받는다고하는데 어떻게하면 좋을까요 물론 독감검사는 음성 나왔습니다.
아이의 열이 40도까지 올라간 상황은 매우 주의를 요합니다. 대학병원에서 엉덩이 주사를 맞고 열이 잠시 떨어졌다가 다시 올랐다면, 아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감 검사가 음성이라도 다른 감염이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근처 대학병원 응급실에 소아과 의사가 없거나 진료를 받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다른 가까운 병원이나 응급실을 찾아보세요. 소아과 의사가 상주하고 있는 병원을 찾아 즉시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119에 전화하여 상황을 설명하고 조언을 구하세요. 필요하다면 구급차를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3. 아이의 열을 관리하기 위해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주사를 맞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약물 투여 전에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아이가 탈수되지 않도록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게 하세요. 열이 많을 때는 수분 손실이 많아지므로 물이나 이온 음료를 자주 제공해 주세요. 5. 아이의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거나 다른 위험 신호(예: 경련, 의식 저하, 호흡 곤란 등)가 나타난다면 즉시 응급 조치가 필요합니다. 아이의 건강 상태가 심각해 보이므로 가능한 빨리 소아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응급 상황에서는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2개월 아기 18일 첫 고열로 병원 진료받았습니다 중이염이랑 목이 부어서 열이 날 수 있다고 하셨고 컨디션은 좋습니다 38도 39도 왔다갔다 교차복욕 하다가 지금 열이 40.2도 인데 보채는거 없이 잘 잡니다 4시50분에 덱시부프로펜 먹였는데 응급실 가야할까요..?
21개월아이가 열이 40.1도까지 올랐네요...일단해열제 먹였는데 응급실가야되나요?응급실가면 아직 어려서 해주는게 없다고들었는데ㅠㅡ
초등3학년아이 열이 40도 넘는데 응급실 가서 수액맞으면 괜찮아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