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보철물 빠지고 기둥까지 뽑혀나와서 다시 사용 중, 기둥을 다시 제작해야 할까요?

이OO • 2024.06.19

어금니 세개를 ( 가운데 치아는 발치상태) 브릿지해서 양쪽에 기둥을박아서 씌워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 15년전에 치료완료하고 잘 사용하고 있었고 작년에 씌운게 들썩거려서 깨부수고 다시 맞춰서 사용하던중에 한 8월개월쯤 사용하다 다시 씌운치아가 끈적거리는걸 씹을때마다 들썩거리는 느낌이 들어 다시 치과에 갔습니다...근데 이번엔 씌운보철물을 깨지 않고 뺀지같은걸로 살살 흔들다가 빼니깐 빠지 더라구요.. 근데 보철물만 빠진게 아니고 15년전에 세운기둥까지 깥이 뽑혀나왔습니다....근데 그걸 다시 소독하고 다시 접착제로 붙혀서 사용하라거 그렇게 조치를 취해주셧습니다.....신경뿌리가 아직 괜찮고해서 발치까진 필요없다고.... 근데 여기서 궁금한게..뿌리가 괜찮은상태면 기둥을 다시 제작해서 씌워야 오래사용하지 않을까요? 저같은겅우 기둥을 다시 제작하지않고 쓰던걸 다시 껴넣은상태인데 튼튼함이나 아니면 세균감염등..괜찮을까요?

충치임플란트
error
실시간 의료상담의 모든 게시물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요. 저작권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게시물을 복제, 배포, 전송 등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로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치의학 관련 1개의 답변

  • 실시간 고민 해결사
    닥터나우 AI
    2024.06.23
    error

    닥터나우 AI가 100만 건의 상담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공한 답변이에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치의학]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기둥이 빠져나온 상태에서 다시 접착제로 붙여 사용하는 것은 일시적인 조치일 수 있습니다. 기둥과 보철물이 오랜 시간 사용되었다면 마모나 손상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보철물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기둥이 한 번 빠졌다면 주변 조직의 지지력이 약해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둥을 다시 제작하여 씌우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안정적이고 튼튼한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둥은 현재의 구강 상태에 맞게 정밀하게 제작되어 더 나은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세균 감염의 위험도 줄일 수 있습니다. 기존의 기둥이나 보철물에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기둥과 보철물을 사용하는 것이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정성과 위생을 고려한다면 기둥을 다시 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최종 결정은 치과 의사의 진단과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치과 의사는 구강 상태를 정밀하게 검사하고, 여러분의 건강 상태, 경제적 상황 등을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 방법을 제안할 것입니다. 가능하다면 몇몇 치과 의사의 의견을 듣고 비교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위 내용은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한, 건강 정보에 최적화된 AI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verified

    의료진이 검토한 답변이에요

    info
    꼭 확인해주세요.

    • 본 답변은 AI를 활용한 참고용 답변으로, 사실과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 행위로 간주될 수 없으며, 닥터나우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 모든 답변은 AI가 생성합니다. 닥터나우 의료진이 답변 내용을 검토하였더라도 정확성은 보증되지 않으며, 진단이나 처방 등 의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 정확한 증상 확인과 진단을 위해서는 닥터나우 앱에서 비대면 진료를 신청하시거나,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치의학, 바로 진료받기

분당연세내과의원

이창현 의사

star
5(100+)
내과
가정의학과
피부과
doctor profile

코모키이비인후과의원

박윤근 의사

star
5(100+)
가정의학과
피부과
안과
doctor profile

개금다나아내과의원

이현승 의사

star
4.9(100+)
내과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doctor profile
keyboard_arrow_right

치의학 관련 질문

  • 치아 보철물 흔들림, 영구 부착시 문제? 수정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앞니 3개 브릿지(pfg)로 제작하여 임시로 붙이고 잘 맞는지 적응기간을 두고 있어요 근데 처음부터 흔들리는 느낌이 있더니 양치시 쑥 빠져버리는데요 급히 다음날 치과에서 다시 부착해주었어요 영구부착시에도 흔들리는 것 아닐까 본 뜬것부터 잘못 되었는지 걱정입니다 ㅠ 새로 보철물을 제작해야할까요 아님 내 이에 맞도록 수정가능할까요??

    치의학

    2024.10.23
  • 투명유지장치

    치아교정 후 투명유지장치를 착용 중인데요. 조금 금이 갔는데 다시 제작해야 하는데 혹시 치과에 가지고 가면 무료로 수리?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첨부한 사진은 현재가 아닌 이전에 유지장치가 금이가서 다시 재작했는데 이번에 또 금이 갔거든요. 다만 지금은 아래 사진처럼 심하진 않고 조금 금이 간 정도입니다

    치의학

    교정

    2023.04.09
  • 치과 신경치료 중 기둥값 포함 여부에 대한 의문

    신경치료를 하게되어 견적을 받았는데, 65만원이라고 했어요. 그 금액 안에 충치 치료를 위해 넣은 재료가 흘러 내리지 않도록 벽을 세우는(기둥값) 비용 10만원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 치과는 신경치료 1회차 때 기둥을 세우고 10만원을 선수납한 뒤, 신경치료 끝날 때 나머지 55만원을 수납하는 방식인데요. 신경치료 1회차 때, 오늘 기둥을 세울 것이라 안내 받고 치료에 들어갔는데, 나중에 제 치아에 원래 있던 인레이를 기둥의 역할로 써서 기둥을 안 세웠다고 10만원을 수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면 지금 남은 결제 금액이 얼마냐 물었더니, 그대로 65만원이라고 하시더라구요. 저는 왜 10만원 기둥을 안 세웠는데 왜 여전히 기둥값이 포함된 금액을 수납해야하느냐 물어보니, 지금은 기둥을 안 세워서 수납하지 않았으나 신경치료가 끝나면 크라운을 씌우기 전까지 기둥을 세워놔야해서, 지금은 안 세웠으나 추후 기둥을 세울 거니 비용에 변화는 없다고 하였습니다. 과잉진료는 아닐까요?

    치의학

    충치

    치통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