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란 후 7일이 지난 경우 임신 가능성과 사후피임약 효과는 어떻게 되나요?
배란일때 안에싸고 7일이 지났으면 임신이 될확률이 100프로겠죠...?ㅍ 사후피임약이 소용이 없겠죠?
배란일때 안에싸고 7일이 지났으면 임신이 될확률이 100프로겠죠...?ㅍ 사후피임약이 소용이 없겠죠?
질문자님의 걱정을 충분히 이해해요. 배란일에 성관계를 가지고 7일이 지났다면, 임신 가능성이 있어요. 하지만 그 확률이 100%라고는 말씀드리기 어려워요. 사후 피임약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사후 피임약은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에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대 120시간까지는 복용이 가능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피임 효과는 줄어들게 돼요. 질문자님의 경우, 이미 7일이 지나서 사후 피임약을 복용하면 효과가 없을 수 있어요. 사후 피임약은 원칙적으로 한 주기에 한 번만 복용하는 것이 좋아요. 여러 번 복용하면 여성의 몸에 부담을 주고 피임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어요. 임신에 대한 불안감이 계속된다면,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아요. 요약하자면, 배란일에 성관계를 가지고 7일이 지났다면 임신 가능성이 있지만, 확신할 수는 없어요. 사후 피임약은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7일이 지난 상황에서는 효과가 없을 수 있어요. 임신에 대한 불안감이 계속된다면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아요.
꼭 확인해주세요.
배란일때 안에 싸고 7일정도 지나면 임신확률이 몇프로인가요? 약을 먹어도 소용이 없겠죠...?
경구피임약을 먹어서 배란이 안된 상태에서 질내사정을 한 후 사후피임약을 복용함과 동시에 경구피임약 복용을 중단해도 사후피임약의 효과로 배란이 안되는 상태가 유지되나요? 이럴 경우엔 임신 가능성이 얼마정도 되나요?
10월28일 생리시작일..11월7일 관계 후 8일 사후피임약 복용 .. 1. 사후피임약 복용 후 배란일이 늦춰지는지? (원래 주기로는 가임기가 아닌 18일 또 관계가 있었다면 사후피임약으로 인해 배란일이 늦춰져 임신가능 주기가 되는지)2. 생리주기이내 사후피임약 두번 먹었을때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 3. 발달장애 등 중증장애인의 임신 경우 낙태 사유 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