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검사 시티로 찍는 것인가요?
췌장검사는 시티로찍나요 수치가 약간높다고하는데 초음파는 안보인다고 춰장검사는 내시경처럼하나요?
췌장검사는 시티로찍나요 수치가 약간높다고하는데 초음파는 안보인다고 춰장검사는 내시경처럼하나요?
췌장 검사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컴퓨터단층촬영(CT)은 췌장의 구조를 세밀하게 볼 수 있어 췌장 질환을 진단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CT는 췌장의 종양, 염증, 낭종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췌장의 이상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T 촬영은 뼈나 조직의 밀도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조직 간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어 CT 촬영 후 MRI 검사를 추가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도 췌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지만, 때로는 췌장의 일부가 잘 보이지 않거나, 체형이나 장내 가스 등의 이유로 세부적인 부분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내시경을 이용한 췌장 검사로는 내시경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ERCP)과 내시경 초음파(EUS)가 있습니다. ERCP는 내시경을 이용해 췌담관에 특수 염료를 주입하고 X-레이를 찍어 췌담관의 이상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EUS는 내시경에 초음파 장치를 부착하여 췌장과 주변 조직을 자세히 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조직 검사(생검)도 할 수 있습니다. 수치가 약간 높다고 할 때 어떤 수치를 말하는지에 따라 다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 검사에서 췌장 효소 수치가 높다면 췌장의 염증이나 손상을 의심할 수 있고, 이 경우 CT나 EUS 같은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진단을 확정할 수 있습니다. 의사의 판단에 따라 가장 적절한 검사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만약 췌장에 문제가 의심되고 초음파로는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했다면, CT나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와 증상, 그리고 의사의 임상적 판단에 따라 가장 적절한 검사 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경구피임약 마이보라를 1년동안 복용하다가 약을 다 먹고, 휴약기에 생리를 했어요. 휴약기 이후 새 팩을 뜯지 않고 복용을 중단했어요. 피임약 복용 전 생리주기는 31-34일 이었고, 피임약 복용 후 생리주기는 28일이었어요. 생리를 하고 피임약 복용 중단 후 33일이 지난 지금까지 생리를 하지 않고 있는데 괜찮은건가요?
10/6-10/26 경구피임약 첫 팩 생리 8일차부터 복용 (휴약기 10/30에 생리 시작) 11/3-11/20까지 경구피임약 19알 복용 (중간에 11/18 사후피임약 복용) 11/24-11/30 출혈(생리와 유사한 양상) 11/24부터 경구피임약 새팩 복용 시작 사후피임약을 복용하고 이틀간 경구피임약 복용하다가 중단하고 생리 시작후 새 팩 시작했습니다. 1. 보통 사후피임약 복용으로 인해 생리가 밀리는 건 배란이 밀리게 돼서 그런걸로 알고 있는데 저의 경우 경구피임약을 복용하고 있어 배란이 억제되었을텐데 생리지연현상이 일어날수도 있나요? 2. 11/24 출혈이 생긴날을 생리 첫날로 간주하고 피임목적으로 경구피임약을 복용했다면 생리첫날 처음 경구피임약을 복용했을때처럼 피임효과가 발휘되었을까요? 맞는 판단이었는지 궁금합니다. 3.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은 기간은 1팩 복용후 휴약기와 두번째 중단 후 3일을 제외하고 없는 상황입니다. 피임효과가 지속적이었을까요?
생리 시작 전에 경구피임약 복용을 시작하였을때 만약 약 복용 도중에 생리가 터진다면 복용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먹어도 괜찮은건가요? 이런 경우에도 한 팩 복용 후 휴약기에도 생리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