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 HSIL 상태에서 액상세포진검사에서 반응성 세포변화만 뜨는 경우 오진 가능성은?
경부 hsil 상태인데 액상세포진검사 에서 반응성 세포변화만 뜨는게 가능한가요 .. 가능하다면 이런식으로 오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 편인가요?
경부 hsil 상태인데 액상세포진검사 에서 반응성 세포변화만 뜨는게 가능한가요 .. 가능하다면 이런식으로 오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 편인가요?
HSIL(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은 상피세포의 고도 이형성을 나타내며,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의미해요. 액상세포진검사는 자궁경부에서 채취한 세포를 특수한 용액에 넣어 검사하는 방법으로, 세포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요. 액상세포진검사에서 '반응성 세포변화'가 관찰되었다는 것은 세포가 염증, 호르몬 변화, 외상 등 비암성 요인에 의해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해요. HSIL 상태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온다면,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1. 오진: 세포진검사는 의료진의 해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때때로 미세한 변화를 구분하기 어려워 오진이 발생할 수 있어요. 그러나 이는 드문 경우이며, 대부분의 실험실은 엄격한 품질 관리를 통해 오진율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2. 샘플링 오류: 적절한 세포가 채취되지 않았거나, HSIL을 나타내는 세포가 검체에 포함되지 않았을 수 있어요. 3. 자연적 변화: 세포의 상태가 시간이 지나면서 변할 수도 있으며, 이전에 HSIL로 진단되었던 상태가 개선되었을 수도 있어요. HSIL 진단을 받았다면, 액상세포진검사 결과에 관계없이 추가적인 진단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보통 고해상도 자궁경부경 검사(colposcopy)와 조직 생검(biopsy)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오진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결과에 의문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재검을 고려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의료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자궁경부 HSIL인데 액상세포진 검사에서 반응성세포변화로 오진나올 가능성이 얼마나 되나요 ?
자궁경부가 hsil로 고등급병변 양성인 상태에서 액상세포진 검사를 시행했을때 반응성 세포변화만 나타날 가능성은 ?
1) 액상세포진 검사에서는 반응성 세포변화가 , 확대경 검사에서는 고등급병변 양성으로 hsil이 떳습니다 . 조직검사 해두었는데 결과가 만성염증으로 나올 확률이 얼마나 되나요? 2)경부가 hsil인데 액상세포진 검사에서 반응성 세포변화로 밖에 안뜨는 경우는 드물다던데 맞나요? 3) 6개월 전 바이러스,세포,암검사 시 모두 정상이여서 1년뒤 재검 소견을 받은 상태입니다 반응성 세포 변화 결과지만 보다가 hsil은 처음인데.. 이렇게 빨리 진행되기도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