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반증 진단을 위한 피검사와 소변검사의 신뢰성은 어떨까요?
김OO • 2024.08.05
제가 최근에 동네 내과에서 피검사 소변검사를 했는데요 할수있는검사는 다 해달라고했고 결과는 다 정상이었어요 만약 자반증이 있으면 피검사 소변검사에서 나오나요? 자반증 진단방법도 궁금합니다(육안검사 제외)
피부과
제가 최근에 동네 내과에서 피검사 소변검사를 했는데요 할수있는검사는 다 해달라고했고 결과는 다 정상이었어요 만약 자반증이 있으면 피검사 소변검사에서 나오나요? 자반증 진단방법도 궁금합니다(육안검사 제외)
자반증 진단을 위한 피검사와 소변검사는 자반증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이러한 검사들만으로 자반증을 확진하기는 어렵습니다. 피검사에서는 혈소판 수치, 염증 수치(CRP, ESR), 신장 기능 검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자반증이 있을 경우 혈소판 수치 이상이나 염증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에서는 혈뇨나 단백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결과가 모두 정상이라고 해서 자반증이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자반증의 확진을 위해서는 피부 생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피부 생검을 통해 혈관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자반증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자반증은 혈소판장애, 혈액응고장애가 흔한 원인이지만, 혈관벽의 염증, 면역질환으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급병원 피부과나 류마티스내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추가적인 검사와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