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 완치 후 진단 기록이 남나요?
산부인과에서 성병 진단 기록이 있으면 완치 판정 이후에도 검사기록지에 전에 걸렸었던 내용이 같이 나오나요..?
산부인과에서 성병 진단 기록이 있으면 완치 판정 이후에도 검사기록지에 전에 걸렸었던 내용이 같이 나오나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산부인과 기록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산부인과에서 성병 진단을 받으면, 해당 진단과 치료 내용은 병원의 진료기록지(의무기록)에 모두 남게 돼요. 진료기록지는 환자의 모든 진료 이력, 검사 결과, 진단명, 치료 내용, 투약 내역, 경과 관찰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의료법에 따라 일정 기간(보통 최소 10년) 동안 보관해야 해요. 이 기록은 환자가 병원을 다시 방문하거나, 진료기록 사본을 요청할 때, 또는 타 병원에 진료정보를 제공할 때 활용될 수 있어요.
성병 진단을 받고 치료를 완료해 완치 판정을 받았더라도, 과거에 성병에 걸렸던 사실은 진료기록지에서 삭제되지 않아요. 진료기록은 환자의 건강 상태와 치료 이력을 모두 포함해야 하므로, 과거의 진단과 치료 내역이 그대로 남아 있게 돼요. 예를 들어, 2023년에 클라미디아에 감염되어 치료를 받았고, 2024년에 완치 판정을 받았다고 하면, 진료기록지에는 2023년 진단과 치료, 그리고 2024년 완치 판정 및 검사 결과가 모두 기록돼요.
이후에 병원에서 진료기록 사본이나 검사 결과지를 요청하면, 보통 전체 진료기록이 출력되기 때문에 과거에 성병에 걸렸던 내역도 함께 나와요. 만약 특정 시점의 검사 결과만 필요하다면, 병원에 "최근 검사 결과지만 발급해 달라"거나 "완치 확인서만 발급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어요. 이 경우에는 해당 시점의 검사 결과나 완치 사실만 기재된 서류를 받을 수 있지만, 진료기록 전체를 요청할 경우에는 이전에 걸렸던 내용이 모두 포함돼요.
진료기록은 환자 본인이나 환자가 동의한 경우, 또는 법적으로 허용된 경우에만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 기록이 유출될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돼요. 예를 들어, 회사나 학교, 보험사 등에서 임의로 진료기록을 열람하거나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해요. 다만, 환자가 직접 진료기록 사본을 제출하거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진료기록 열람 동의서를 제출한 경우에는 과거 이력이 확인될 수 있어요.
또한,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과거 기록을 자동으로 전달하지는 않아요. 새로운 병원에서 과거 기록을 요청하지 않는 한, 이전에 성병에 걸렸던 사실이 바로 드러나지는 않아요. 그러나 환자가 진료기록 사본을 다른 병원에 제출하면, 그 안에 과거 성병 진단 및 치료 이력이 포함될 수 있으니 참고하셔야 할 것 같아요.
정리하면, 산부인과에서 성병 진단을 받았던 기록은 완치 이후에도 진료기록지에 남아 있고, 진료기록 사본이나 전체 검사 결과지를 발급받을 때 과거 이력이 같이 나와요. 개인정보 보호는 철저하게 이루어지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병원에 원하는 서류 형식이나 범위를 구체적으로 요청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혹시 나도 성병? 성병 증상과 검사, 종류, 예방법에 대해 알려드려요.
5.0
2025.06.13
보건소에서 성병검사를 하면 건강검진 기록에 남게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원치않을경우 기록하지 않을수 있는지 긍금합니다
성병 진단후 약 먹고 나서 산부인과를 간 후에 완치 판정을 받아야하나여?
성병검사를 실시할때 비급여로 검사를 하게되면 건강검진 기록에 남는지 궁금합니다 아무애개 알려지지 않고 저혼자 알고 치료를 받고 싶습니다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