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염
땀띠처럼 팔에 조금 붉게 올라왔길래 긁었더니 진물도 나오고 확 번졌는데 이거 피부염일까요?

땀띠처럼 팔에 조금 붉게 올라왔길래 긁었더니 진물도 나오고 확 번졌는데 이거 피부염일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사진상 피부염 외에도 대상포진을 고려해볼 수 있겠는데요.
신경이 분포하는 부위에 심한 통증과 감각이상이 동반되며 붉은 반점이 신경을 따라 나타난 후 여러 개의 물집이 무리를 지어 나타나타날 수 있어요.
주로 몸의 한쪽 부분에만 국한되는 경우가 많으며 따끔거리는 통증을 시작으로 발진, 수포, 열, 두통 등 증상이 생기고 2~3주 후 수포가 터지며 농포, 가피를 형성하게 돼요.
대상포진 치료로 항바이러스제와, 스테이로이드, 진통제 등을 사용할 수 있어요.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대상포진 후에도 신경통, 장기로 바이러스 전이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해요.
더욱 번지기 전에 가까운 피부과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을 가장 권유드릴게요
도움이 필요하실 땐 언제든 다시 이용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AD
안녕하세요 경구피임약 4달정도 지속적으로 먹다가 마지막 휴약기 가지다가 재복용 시기를 놓치고 휴약기 10일째에 질내사정을 하여 사후피임약을 복용했습니다(10월23일) 이후 10월 28일에 월경을 시작하여 11월 2일에 끝났으며 피가 많이 나온걸로 보아 월경이었어요 월경 3일차 되는 10월 30일에 경구피임약을 재복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지속적으로 복용하다 7일째 되는 11월 6일에 질내사정을 하였는데 임신 위험이 어느정도 있을까요? 사후피임약을 먹어야 할까요? 요약하면 사후피임약 복용 후 5일 째 되던 날부터 생리 시작하여 7일동안 하였고 생리 3일 차부터 7일간 경구피임약 복용하였고 7일째 되던 날에 질내사정을 하였을 때 임신 위험이 어느 정도인가요?
생리 첫날부터 경구피임약 먹기 시작했고 생리 둘째날 질내사정을 하였는데 앞으로 경구피임약만 빠짐없이 복용한다면 사후피임약 안먹어도 되겠지요? 임신할 확률이 어느정도 일까요? 사후피임약을 먹어야 할까요?
생리 1일차인 4월 15일부터 경구피임약 복용을 시작하였고 오늘 질내사정이 이루어졌는데 사후피임약 복용이 필요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