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산 수치가 높을 때 대학병원 진료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25/남자 172/65kg입니다 25년1월 요산8.2 3월7.3 이번에 8.3이나왓어요 ㅠ 병원에서 신장,간등은 정상이라하시고 소변검사도 정상이라 약은 수치9부터 보험이되고 경계치라 약을 주진않으셨어요. 원인을알려면 의뢰서써줄테니 대학병원 가보는게 어떻냐고 하시더라고요.. 대학병원에 가보는방법밖엔없겠죠? 제가 술은 아예안마시고 자취중이라 고기도잘안먹어요 ㅠㅠ
안녕하세요 25/남자 172/65kg입니다 25년1월 요산8.2 3월7.3 이번에 8.3이나왓어요 ㅠ 병원에서 신장,간등은 정상이라하시고 소변검사도 정상이라 약은 수치9부터 보험이되고 경계치라 약을 주진않으셨어요. 원인을알려면 의뢰서써줄테니 대학병원 가보는게 어떻냐고 하시더라고요.. 대학병원에 가보는방법밖엔없겠죠? 제가 술은 아예안마시고 자취중이라 고기도잘안먹어요 ㅠㅠ
AD
안녕하세요. 요산 수치와 관련된 고민이 있으시군요. 현재 말씀하신 요산 수치(8.2, 7.3, 8.3)는 정상 범위를 약간 초과한 상태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요산의 정상 범위는 남성 기준으로 7.0mg/dL 이하로 간주됩니다. 요산 수치가 높아지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유전적 요인, 식습관, 체내 대사 이상,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술을 드시지 않고 고기도 잘 드시지 않는다고 하셨으니, 식습관 외의 다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대학병원 방문 여부는 선택 사항이지만, 현재로서는 꼭 필요한 단계는 아닐 수 있습니다. 신장과 간 기능이 정상이고 소변 검사도 이상이 없다면, 우선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요산 수치를 관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요산 수치가 지속적으로 9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통풍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관절 통증, 부종 등), 가족력이나 다른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등)이 있는 경우, 또는 현재 상태에 대해 더 정밀한 검사를 원하시는 경우에는 대학병원 방문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습관 관리 팁으로는 하루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셔 요산 배출을 촉진하고, 고기, 내장, 해산물, 맥주 등 퓨린 함량이 높은 음식을 피하며,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적당한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카페인 음료나 단 음료는 요산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상태로는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요산 수치를 관리하면서, 1~2개월 후 다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요산 수치가 계속 높아지거나 통풍 증상이 나타난다면, 그때 대학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건강 관리에 힘내시길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요산수치가높아서 통풍인가해서 대학병원에갓더니 아니랍니다 요산수치가 높으면 무조건 통풍아니였나요?...
요산 수치가 높아서 페북센 등을 먹었는데, 최근 피검사 결과 요산 수치가 또 높다고 나왔어요. 그래서 약을 다시 먹을까 하는데 비대면 진료로도 요산 저하제 처방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4월 중 왼쪽 발등과 발 날 쪽의 알수없는 통증으로 정형외과를 내원했는데, 엑스레이상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고 피검사 후 통풍 수치가 높아서 그럴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통풍약과 진통제 2주치를 받았습니다. 약 먹고 2-3일 후 발 통증은 완화되었습니다. 다만 통풍이라고 느껴질 정도의 통증은 아니었습니다. 오늘 다시 검사했는데 요산 수치가 7.4 여서 페브릭정을 3개월 치 처방받았습니다. 평소 오른쪽 옆구리 안쪽에 당기는 듯한 통증이 자주 있고, 얼마 전에는 오른쪽 몸 관절(발목,손목,어깨,무릎)등이 쑤시고 결리는 증상이 있었습니다.(지금은 나아졌습니다) 복용하는 약은 따로없습니다. 요산 수치가 높은 것이 이전의 발등 통증이나 옆구리, 관절 통증과 연관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