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염 치료 후 설사와 녹변, 추가 검사 필요성은?
방광염으로 약처방을 받아서 복용했는데 설사와 녹변을 겪어 내과에 내원해서 외래를 받았는데요 소견서를 써주고 2차 병원에 가보라고 하여 다녀왔습니다. 그런데 직장내시경 혹은 배변체취를 하고 결과에 따라 입원을 하자는데.. 이게 이렇게까지 할일인가 싶어서 의견여쭙고자 합니다. 참고로 지금은 설사는 멈췄고 녹변만 나오고 있습니다. 다른 통증 없습니다. 현재까지 먹은 약과 소견서 첨부드립니다
방광염으로 약처방을 받아서 복용했는데 설사와 녹변을 겪어 내과에 내원해서 외래를 받았는데요 소견서를 써주고 2차 병원에 가보라고 하여 다녀왔습니다. 그런데 직장내시경 혹은 배변체취를 하고 결과에 따라 입원을 하자는데.. 이게 이렇게까지 할일인가 싶어서 의견여쭙고자 합니다. 참고로 지금은 설사는 멈췄고 녹변만 나오고 있습니다. 다른 통증 없습니다. 현재까지 먹은 약과 소견서 첨부드립니다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이야기 들어보니 당황스러우셨을 것 같아요.
원래는 방광염 치료로 약만 복용했는데, 그 이후 설사와 녹변이 생겨서 내과에 갔고, 거기서 2차 병원을 권유받으셨군요.
그런데 그 병원에서 직장내시경이나 입원 이야기가 나와서 지금은 너무 과한 조치 아닌가 싶은 마음이 드신 거죠.
우선 약 복용 후 설사와 변 색 변화가 생기는 경우는 생각보다 흔한데요,
특히 항생제 종류에 따라 장내 유익균이 죽으면서 일시적으로 설사나 녹변, 복부 불편감이 생기기도 해요.
대개는 약을 중단하면 며칠 안에 자연스럽게 좋아지고, 특별히 통증이나 고열, 피 섞인 설사, 탈수 같은 심한 증상이 없다면 굳이 큰 검사를 하거나 입원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어요.
지금은 설사도 멈췄고, 통증도 없으며, 단순히 변 색이 녹색으로 나오는 정도라면 그건 장내 환경이 약 때문에 바뀌었거나 음식이나 유산균 상태에 따른 변화일 수도 있어서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2차 병원에서 그렇게까지 권한 건 혹시 모를 장염이나 다른 염증성 장질환 가능성을 확인하고 싶었던 걸 수도 있는데, 그건 현재 증상이 심한 경우에나 권유되는 검진이거든요.
정리하자면, 지금 증상만으로는 꼭 내시경이나 입원이 필요한 상태는 아니어 보이고요, 경과를 조금 더 지켜보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다만 증상이 다시 심해진다든지, 설사가 재발하거나 복통, 발열, 피 섞인 변이 나온다면 그땐 병원에서 권유한 검사를 고려하셔야 해요.
지금은 무리하지 마시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면서 유산균이 들어간 식품 조금씩 드셔보시고, 수분도 잘 챙겨주세요.
질문자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닥터나우 '건강매거진'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상한 음식을 먹었거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흔하게 걸리는 장염. 유의해야 할 음식에 대해 알려드려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관계 후 방광염이 의심되어 5일치 약을 처방받고 먹었습니다. 절박뇨 잔뇨 혈뇨 있었고 따로 검사는 안 하고 이틀 정도 약 먹으니까 괜찮아졌고 그래도 끝까지 약은 다 먹었어요. 14일~18일에 먹고 다 나은 줄 알았는데 21일 오후 4시부터 한시간 반에 한 번씩 빈뇨에 오후 9시엔 혈뇨까지 비칩니다.. 1. 다 나은 줄 알았는데 왜 또 이러나요? 2. 혈뇨면 무조건 방광경 검사인가요? 20만원이 맞나요? 보험 같은 거 되나요? 3. 소변검사만으로도 되나요? 4. 다소 민망한 요도에 넣는 거나 조직검사 이런 게 꼭 필수인가요? 소변검사만 하고 싶어요..
방광염 치료 후 며칠 지났는데 증세가 남아 있어요 그러다 장염이 걸려서 장염약을 타왔어요 근데 장염약 중에 오로신정이 있는데 이게 방광염 약이기도 하더라구요 방광염 검사를 하고 장염약을 먹는게 나을까요?
작년에 처음 방광염을 겪고 계속 재발되었던 20대 초반 여자입니다. 경증의 방광염 증상이 있어서 약국약을 먹고 산부인과에서 소변배양검사를 한 결과 다량의 대장균이 검출되었다고 해요. 검사 전 약국약 복용 후에 방광염 증상은 없는데 꼭 항생제 복용이 필요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