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관 시술 후 hCG 수치 상승, 의미는?
시험관시술하고 피검사가 25 41 50 126 이렇게 계속 조금 씩 오르는데 정상적이지는 않은데 병원에서 자궁외임신은 수치가 확 올라야 한다는데 그럼 이건 뭘까요? 계속 피검사를 해서 상황을 본다는데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시험관시술하고 피검사가 25 41 50 126 이렇게 계속 조금 씩 오르는데 정상적이지는 않은데 병원에서 자궁외임신은 수치가 확 올라야 한다는데 그럼 이건 뭘까요? 계속 피검사를 해서 상황을 본다는데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AD
시험관 시술 후 hCG 수치가 계속 조금씩 오르는 상황이 걱정되시는군요.
일반적으로 정상 임신의 경우 hCG 수치는 48~72시간마다 약 2배(최소 1.6배 이상) 증가하는 패턴을 보입니다. 말씀하신 수치(25 → 41 → 50 → 126)는 이상적인 상승 속도보다는 느린 편입니다.
이런 경우 몇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병원에서 계속 피검사를 통해 상황을 지켜보자고 하신 것은 정확한 진단을 위한 적절한 접근법입니다. hCG 수치 변화 추이와 함께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임신낭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로서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정기적인 검사를 받으며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불안하시겠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료진과 긴밀히 소통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시험관 3일배양 시술 받았는데 hcg 수치에 대해 궁금합니다. 6월 10일 - 채취 6월 13일 - 이식(3일배양 2개) 6월 24일 - 피검사 hcg 208.9 6월 30일 - 피검사 hcg 1071 이렇게 되고 있는데 수치가 천천히 오르는건지, 안정적인건지 궁금합니다. 7월 2일에 피검사 한번 더 하기로 했는데 너무 걱정되서요..
시험관 배주사맞는중인데 배가아파서 응가한것을 시험관 시술전인데 응가햇다고 임신성공이 안되나요 ?
3차 시험관이 비임신 종결됐어요. 2차 시험관 종결시 프로락틴 수치 58로 카버락틴 4주 복용하고 한달 뒤 3차 시험관 시작할때 프로락틴 수치가 38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고 있는데 일단 진행하자고하셔서 추가 약복용 없이 진행했고 착상 실패했어요 2차도 프로락틴 수치 56이였는데 그냥 진행했다가 착상 실패했었구요. 이렇게 프로락틴 수치가 계속 다시 오르면 시험관 진행 할 때 카버락틴 복용시기를 언제로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