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 아이의 고열과 오한으로 인한 불편함,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7세 아이 감기로 목이 많이 부어서 열이 납니다. 열이 오르면 39.5전후를 유지하는데 오전에 병원에 다녀와서 약처방은 받아왔으나 열이 잡히지는않네요. 교차복용도 소용없구요 해열제먹고 열이 조금(38.5정도)떨어지나싶다가도 두시간이내에 다시 고열나면서 오한으로 춥다고하는데 겨울이라.. 나시를 입힐수도없고..가볍게이불을 덮어줘도되는지요? 이럴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7세 아이 감기로 목이 많이 부어서 열이 납니다. 열이 오르면 39.5전후를 유지하는데 오전에 병원에 다녀와서 약처방은 받아왔으나 열이 잡히지는않네요. 교차복용도 소용없구요 해열제먹고 열이 조금(38.5정도)떨어지나싶다가도 두시간이내에 다시 고열나면서 오한으로 춥다고하는데 겨울이라.. 나시를 입힐수도없고..가볍게이불을 덮어줘도되는지요? 이럴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7세 아이가 고열과 목 부음 증상을 보이는 경우, 먼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정해진 용법과 용량에 따라 꾸준히 복용하도록 하세요. 고열이 지속될 때는 아이의 체온 조절을 돕기 위해 가볍게 옷을 입히고, 땀이 나지 않도록 적당한 두께의 이불을 덮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더위를 느끼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체온을 확인하며 상태를 관찰하세요. 아이가 오한을 느낀다면 체온이 떨어지고 있는 신호일 수 있으므로, 가볍게 몸을 덮어주어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아이가 더워한다면 이불을 덮지 않거나 얇은 담요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열이 38.5도 이상으로 지속되고 해열제 복용 후에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고열이 지속되고 목의 부음이 심한 경우, 세균성 감염이나 다른 질환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를 유지하고, 아이가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세요. 고열이 있을 때는 몸에서 수분이 빠져나가기 쉬우므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물이나 이온 음료를 자주 마시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이가 호흡곤란, 발진, 의식변화, 지속적인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이거나 상태가 악화된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아이가 3일째 38.5되 고열이 지속되고 기침 가래가 끓는 기침을 합니다
오늘 병원다녀왔는데 기관지염 축농증이래여 약타왓고 아이가 5살이구여 활발한아이인데 평소보다 아이가 힘이없어보이긴 했구여 열은 최고가37.7미열정도구여 그런데 아이가 오한인지 엄청 떨면서 자는데 열이 더오르니여??오한이면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이불두꺼운거 덮어줬고 당연히 에어컨은 안켰구요
7세 남아인데 9월달에 입안에 수포가나고 고열이나서 병원입원하여 수액및 비타민주사 2박3일동안 맞고 퇴원했었고 1주일뒤 또 열이나서 독감및 바이러스 코로나 검사했으나 별다른 의견없이 3일정도뒤 완쾌되었고 1주일정도 뒤 또 열이나서 위 검사 3가지해서 코로나확진되서 추석전쯤 완쾌해서 괜찮았는데 오늘 저녁쯤 또 열이 나네요 이렇게 자주 열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단순히 면역력 및 체력이 저하되서 그런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