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사와 소독솜으로 지혈한 상처, 감염 가능성은?
1)오늘 제가 피를 뽑고 임상병리사가 딱봐도 이곳저곳 만지다가 온 손을 안씻고 그 상태로 소독솜을 만지작거리다가 그 소독솜으로 제 상처 부위를 지혈했는데요,이 과정에서 소독솜이 오염되어 에이즈나 b형간염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나요? 2)간호사 손에 피가 없더라도 손에 에이즈나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나요?이곳저곳 병원을 만지다보면서요.
1)오늘 제가 피를 뽑고 임상병리사가 딱봐도 이곳저곳 만지다가 온 손을 안씻고 그 상태로 소독솜을 만지작거리다가 그 소독솜으로 제 상처 부위를 지혈했는데요,이 과정에서 소독솜이 오염되어 에이즈나 b형간염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나요? 2)간호사 손에 피가 없더라도 손에 에이즈나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나요?이곳저곳 병원을 만지다보면서요.
AD
에이즈(HIV)나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혈액, 성적 접촉, 감염된 주사기 등을 통해 전파됩니다. 소독솜이 오염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소독솜을 통해 에이즈나 B형 간염에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공기 중이나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감염에 대한 걱정이 크다면, 병원에서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간호사의 손에 피가 없더라도, 이론적으로는 손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손에 묻어 있다고 하더라도, 피부를 통해 직접 전파되지는 않습니다. 바이러스는 주로 상처나 점막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손에 바이러스가 있다고 해서 바로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병원에서는 이러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 씻기와 소독을 철저히 하고 있으며, 감염인의 체액을 통해 빠져나온 바이러스는 점막, 피부의 상처 등을 통해 타인에게 감염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극히 적은 양의 바이러스의 양이긴 하지만, 감염률이 0%라고 보긴 어렵기 때문에 개방된 상처나 염증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어제 상처가 생겨서 병원에서 드레싱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간호사분이 앞선 환자들에게 주사를 접종하고 또한 그걸 주사바늘등을 쓰레기통에 넣고 손도 씻지 않는 상태에서 제 상처를 맨손으로 만졌습니다 선생님 처음에는 맨손으로 내 상처를 만진 후에 핀셋을 갖고 소독솜을 갖고 해당 상처에 소독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상처에다가 다시 소독솜을 덮고 테이핑을 맨손으로 하였습니다 내 앞선 환자가 hiv 감염 환자라면 혹시 그 간호사분이 그 환자의 혈액을 맨손으로 만진 후 내 상처를 만졌다면 내가 감염이 될 가능성이 있을런지요? 상처를 보느라고 그 간호사 분이 맨손으로 만진 후 10초 정도 후에 소독약으로 소독을 하였습니다 그럼 걱정 할 필요가 없는지요? 제가 겁이 나는 건 그 맨손으로 만질때 곧장 감염이 될까봐 너무나도 두렵습니다 확실히 맨손으로 상처를 본 후 10초 후에 소독솜으로 상처를 소독하고 빨간약으로 소독하고 소독솜을 상처에 덮었습니다 괜찮을런지요? 너무나도 두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어제 상처가 생겨서 병원에서 드레싱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간호사분이 앞선 환자들에게 주사를 접종하고 또한 그걸 주사바늘등을 쓰레기통에 넣고 손도 씻지 않는 상태에서 제 상처를 맨손으로 만졌습니다 선생님 처음에는 맨손으로 내 상처를 만진 후에 핀셋을 갖고 소독솜을 갖고 해당 상처에 소독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상처에다가 다시 소독솜을 덮고 테이핑을 맨손으로 하였습니다 내 앞선 환자가 hiv 감염 환자라면 혹시 그 간호사분이 그 환자의 혈액을 맨손으로 만진 후 내 상처를 만졌다면 내가 감염이 될 가능성이 있을런지요? 상처를 보느라고 그 간호사 분이 맨손으로 만진 후 10초 정도 후에 소독약으로 소독을 하였습니다 그럼 걱정 할 필요가 없는지요? 제가 겁이 나는 건 그 맨손으로 만질때 곧장 감염이 될까봐 너무나도 두렵습니다 확실히 맨손으로 상처를 본 후 10초 후에 소독솜으로 상처를 소독하고 빨간약으로 소독하고 소독솜을 상처에 덮었습니다 괜찮을런지요? 너무나도 두렵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그런데 병리사가 채혈 전 후로 손소독을 하지 않았고 검체 오염이 아닌 제가 감염되었을 가능성을 물어본 것입니다 ㅜ 재답변 가능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