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SA 환자 채혈침에 찔렸을 때 검사 필요할까요?
딸이 간호사로 일하는데 mrsa,mrpa 균을 갖고 있는 환자 혈당을 재다가 그 환자를 찌른 침에 찔렸서 피가 살짝났다고 하는데 검사를 해봐야 하나요? 넘 걱정되네요.. 빠른 답변 부탁 드립니다.
딸이 간호사로 일하는데 mrsa,mrpa 균을 갖고 있는 환자 혈당을 재다가 그 환자를 찌른 침에 찔렸서 피가 살짝났다고 하는데 검사를 해봐야 하나요? 넘 걱정되네요.. 빠른 답변 부탁 드립니다.
AD
안녕하세요. 걱정이 많으시겠지만, 우선 차분히 상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와 MRPA(메티실린 내성 녹농균)는 항생제 내성을 가진 균으로, 일반적으로 피부나 점막에 상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혈당을 재는 과정에서 사용된 침에 찔렸다고 해서 반드시 감염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감염 여부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님이 찔린 침이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면, 감염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찔린 부위가 깊거나 출혈이 있었다면 더욱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병원 내 감염관리팀에 즉시 보고하고, 필요한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님께서 현재 증상이 없더라도, 감염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병원에서 권장하는 절차를 따르시길 권장합니다. 또한, 감염 예방을 위해 찔린 부위를 깨끗이 소독하고, 필요한 경우 항생제 치료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따님이 근무하는 병원의 감염관리 지침을 확인하시고, 빠르게 조치를 취하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먼저 저는 약간 강박증이 있습니다. 6주 전 병원 카운터에 놓인 채혈침이 있었고 팔을 뻗는 도중 그곳에 찔렸을까봐 두려워 6주 후 hiv항원항체 검사를 받았고 음성이 나왔습니다. 채혈침에 찔렸는지 안찔렸는지 확실치는 않으나 검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경우 12주차에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까요? hiv항원항체 검사는 6주면은 확실하다고는 하는데 이게 성관계를 기준으로 잡은건지 저처럼 채혈침이나 주사기에 찔린경우는 검사시기가 성관계로 인한 감염과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6주 전 병원 카운터에 놓인 채혈침이 있었고 팔을 뻗는 도중 그곳에 찔렸을까봐 두려워 6주 후 hiv항원항체 검사를 받았고 음성이 나왔습니다. 채혈침에 찔렸는지 안찔렸는지 확실치는 않으나 검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 경우 12주차에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까요? hiv항원항체 검사는 6주면은 확실하다고는 하는데 이게 성관계를 기준으로 잡은건지 저처럼 채혈침이나 주사기에 찔린경우는 검사시기가 성관계로 인한 감염과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감염경로별로 검사시기가 다른가요? 오염된 주사기에 찔리면 최대 1년까지도 검사를 해서 확인한다는데 제 경우엔 어떤가요?
여드름 압출 후에 채혈침 정리하다가 채혈침에 손가락 을 찔렸는데, 피도 안나고 아프기만해서 내버려 두었어요. 2~3일 지나고 손 끝이 아파서 확인해보니까 고름 찬 것처럼 노랗게 변했더라고요. 터질 것 같진 않은데, 손가락이다보니까 불편함이 많네요. 병원가서 진료받는 것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