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살 아이의 열이 계속 오르락내리락하는데 응급실을 방문해야 할까요?
아이가 (9살) 열이 38.5도입니다 해열제를 먹으면 37.5까지 내렷다가 다시 38.5도로 올라가는데..응급실을까야할까요?
아이가 (9살) 열이 38.5도입니다 해열제를 먹으면 37.5까지 내렷다가 다시 38.5도로 올라가는데..응급실을까야할까요?
9세 아이가 열이 38.5도인 경우, 해열제를 복용하여 열이 다소 내려간 것은 긍정적인 상황이지만, 열이 다시 올라가는 것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응급실을 가야 할지 여부는 아이의 다른 증상들과 전반적인 상태를 고려해야 합니다. 아이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호흡곤란 - 지속적인 구토나 설사 - 의식이 명료하지 않거나 혼란스러움 - 발진이나 출혈 - 먹지를 않거나 수분 섭취가 현저히 줄어듦 - 통증이 심하거나 특정 부위에 심한 통증을 호소함 -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됨 이러한 심각한 증상이 없고, 아이가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라면, 지속적으로 수분을 섭취하게 하고,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열이 계속해서 오르내리는 경우에는 가까운 소아과에 전화하여 상담을 받거나 예약을 잡아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해열제를 복용한 후에도 열이 내리지 않거나 아이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는다면, 더 이상 기다리지 말고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응급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평일이나 진료 시간에 소아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해열제를 복용하면서 열이 떨어지지 않고 아이의 컨디션이 지속적으로 저하된다면 의료기관의 방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해열제 복용 후 열이 내려갔다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우선 해열제를 시간 간격에 맞춰서 다시 복용해주시는 것이 좋겠어요. 한가지 성분의 해열제를 복용 중이시라면 다른 성분의 해열제를 교차 복용해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아이가 만약 약을 복용하지 못하거나 처지는 등의 탈수의 위험이 있다면 수액처치가 있는 응급의료기관 방문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겠으나, 약을 복용할 수 있다면 우선 충분한 수분섭취와 해열제를 다시 복용해주시는 것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오늘 먹은것도 없는데 속이 너무 울렁거리고 쿠토까지 했어요. 기침때문에 위장장애 온 것 같은데 머리도 너무 아프고 다리도 관절통 너무 심하고 진통제 먹어도 안듣고 약먹으면 다 토하는데 어떻게 해야해요? 내일 입원하기로 했는데 그 전까지 살아남을 방법 좀 알려주세요
어제 부터 슬슬 통증이 시작됬고 약국에서 파는 잇몸염증약과 진통제 따로 먹었습니다 효과 하나도 보지 못한상태이고 현재는 잇몸은 좀 부어 있는 상태고 통증은 귀가 떨어질것 같고 아픈쪽 입안 반쪽이 다 아프고 마취가 풀릴때 쎄~~~한 느낌이 동반되고 있으며 제일아픈 치아는 혀로 살짝스쳐도 아프고 침을 뱉기가 어려움 신경치료하고 금씐운 치아입니다뭘해야될까요?
유선염이 와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럽고 오른쪽가슴이 부었어요~ 혼자 아기 데리고 운전 자신이 없어서 항생제처방 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