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세포병리검사 반응성세포변화
자궁경부암 세포검사로 반응성세포변화가 나왔고 hpv 바이러스 고위험군이 있는데요 세포검사가 심각하진 않지만 추가로 확대경 검사도 받았는데 자궁확대경 검사가 안좋게 나올수도 있나요?
자궁경부암 세포검사로 반응성세포변화가 나왔고 hpv 바이러스 고위험군이 있는데요 세포검사가 심각하진 않지만 추가로 확대경 검사도 받았는데 자궁확대경 검사가 안좋게 나올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HPV는 고위험군 바이러스와 저위험군 바이러스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저위험 HPV(low risk)로는 6, 11, 40, 42, 43, 44, 54, 61, 72, 81, CP6108가 있고 HPV에 감염된 경우 항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에요. 고위험 HPV는 비정상적인 자궁경부 도말 검사 결과를 나타나게 하며 자궁경부, 질, 항문 , 남성의 성기에서 종양을 일으킬 수 있고 저위험 HPV도 자궁경부 도말검사에서 비정상 결과를 나타낼 수 있고 질, 자궁경부, 항문, 직장, 남성의 성기에 콘딜로마도 일으킬 수 있다고 해요. 대개는 저위험군 바이러스로 일과성 감염으로 시간이 지나면 소실(1-2년 안에 소실)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의 고위험군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지속적인 감염상태를 유지하여 자궁경부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인유두종바이러스가 만들어 내는 바이러스의 단백질들이 암 발생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인체의 종양억제유전자로부터 만들어지는 단백질들의 기능을 억제 함으로써 암 발생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어요. 성행위의 처음부터 끝까지 콘돔을 사용할 경우 HPV에 걸릴 확률을 낮출 수는 있지만 콘돔으로 덮이지 않는 영역을 감염시킬 수 있고,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질 뿐만 아니라 항문 또는 구강 성교를 통해서도 감염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자궁경부암검사(세포진 검사)에서 이상 세포가 발견되면 질 확대경 검사를 시행해요. 질 확대경 검사란 자궁경부암의 정밀검사예요. 즉 암 검사(세포진 검사)를 시행 후에 자궁경부암의 변화가 의심되면 질 확대경 검사를 통하여 어느 부위에 암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 후에 그 부위를 선택적으로 조직 검사하여 최종 암으로 확진 하는 것이에요. 질 확대경 검사는 약 7.5배에서 40배까지 확대 되는 특수한 확대경이 있어 자궁경부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보다 세밀하게 관찰 할 수 있어요. 따라서 눈으로 보아서는 진단할 수 없는 부위까지 찾아내게 되어요. 고위험군 바이러스가 있으시고 추가 정밀 검사를 위해 질 확대경 검사를 하셨으니 유의미한 검사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있어요. 너무 많이 걱정하지 마시고 검사 결과 기다리시면 될 것 같아요. 무료상담 서비스는 의료 행위(의사의 진료)를 대신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 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인천 삼성미즈 산부인과의 한상훈 원장 입니다. 암검사 정상이면 괜찮게 나올 확률이 더 높습니다 잘 치료 되시기를 바랍니다.
인천 부평구 부평대로 93 (부평동) 2층 삼성미즈산부인과의원
자궁경부암검사 결과 반응성 세포변화 진단을 많았는데 반응성 세포변화가 무엇이며 반응성 세포변화로 인해 생리불순이 발생할 수도 있나요?
자궁경부암 액상세포검사 결과 반응성 세포변화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hpv42 자궁경부암 세포검사 결과 이상세포는 관찰돠지 않지만 반응성 세포변화 소견이 관찰됩니다. 정기적인 세포검사를 시행하시기 바랍니다. 걱정 해야 하는 부분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