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일전 아기가 38도 이상일때 위험한 이유
65일 아기 37.9까지 올랐는데 아기가 고열이나면 어떤 이유때문에 위험한건가요 38도 넘어갈시에 4.3키로 아기 해열제 용량 어느정도 먹이면 될까요
65일 아기 37.9까지 올랐는데 아기가 고열이나면 어떤 이유때문에 위험한건가요 38도 넘어갈시에 4.3키로 아기 해열제 용량 어느정도 먹이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영아의 발열 증상이 지속되면 탈수가 올 수도 있고 고열로 인해 뇌에 후유증이 남거나 뇌수막염 등이 발생할 수도 있어 고열이 지속된다면 병원 내원을 고려해야 해요. 의약정보센터 KIMS에 의하면 흔하게 사용되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 시럽도 4개월 이상(7kg 이상)의 영아부터 권장 용량이 기재되어 있어 정확한 안내가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려요. 현재 병원 내원이 어렵다면 닥터나우 앱 내 '과목 진료' > '소아청소년과' 에서원하는 의사를 선택하여 비대면 진료를 통해 상담하실 것을 권장드려요. 무료상담 서비스는 의료 행위(의사의 진료)를 대신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 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아기가 3일째 고열과 마른기침 증상이 있는데요, 검사해보니 코로나는 아니라고 합니다. 챔프 빨간색(아세트아미노펜)을 4시간 간격으로 38도 이상일 때만 먹였는데요, 체온이 37도가 되었다가 38.5도가 되는 등 들쑥날쑥해서 월령은 안되지만 맥시부펜(덱시부프로펜계열) 약이 복용 가능한지 문의 드려요. 아기 체중은 오늘 아침 8.2kg입니다.
아기가 접종열로 38° 이상일 때 해열제 교차 복용을 해도 될까요?
발열과 고열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 학교 보건실 선생님께서 체온이 38도를 넘어가면 발열이 아니라 고열이라고 하셨는데 맞을까요?(발열은 열이 난다는 것 자체를 의미하고 체온이 38도를 넘기 시작하면 고열이라고 하셨습니다.) 2. 성인이 정상 체온을 넘어 몇 도 이상일 때 발열이 아닌 고열이라고 정의하나요? (참고로 저희 아버지께서 일주일 전 독감에 걸리셨을 때는 최고 체온이 38.6도까지 오른적이 있었습니다. 성인의 체온이 38.6도라면 고열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