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띠고 차 이동 후 머리 흔들림 걱정, 장거리 이동 가능할까요?
62일된 아기 아기띠하고 차로 2시간정도 왕복다녀왔는데 머리까지 고정되있기도하고 또 목과 머리를 받쳐주고 가긴했지만 방지턱이나 차로 이동해 제몸이 흔들릴때 아기도 같이 흔들리긴했어요 잘받춰서 머리가 좌우 앞뒤로 움직인건 아니지만 제 몸이랑 같이 움직였는데 거ㅐㄴ찮나요? 또 이랗게 가먄 장거리도 괜찮나요?
62일된 아기 아기띠하고 차로 2시간정도 왕복다녀왔는데 머리까지 고정되있기도하고 또 목과 머리를 받쳐주고 가긴했지만 방지턱이나 차로 이동해 제몸이 흔들릴때 아기도 같이 흔들리긴했어요 잘받춰서 머리가 좌우 앞뒤로 움직인건 아니지만 제 몸이랑 같이 움직였는데 거ㅐㄴ찮나요? 또 이랗게 가먄 장거리도 괜찮나요?
지금 아이가 아프다면?
62일 된 아기는 목과 머리가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차량 이동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기띠를 사용하여 아기의 머리와 목을 지지해주었다면 큰 문제는 없을 가능성이 높지만, 장거리 이동 시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기의 안전을 위해 다음 사항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첫째, 아기띠 대신 아기용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카시트는 아기의 머리와 목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방지턱이나 흔들림에 대한 충격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둘째, 장거리 이동 중에는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하여 아기가 너무 오래 같은 자세로 있지 않도록 해주세요. 아기들의 상태는 시시각각 변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이동 중에도 아기의 컨디션 변화를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셋째, 이동 중 아기의 상태를 자주 확인하여 불편해하거나 이상이 없는지 살펴보세요. 평소 잘 먹던 식이에 대해 거부를 하거나 잦은 구토, 보챔 등의 증상이 보여질 수 있으니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넷째, 장거리 이동 전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여 아기의 상태에 맞는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특히 아기가 불편해하거나 이상 증상을 보일 경우에는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기의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이동 전 충분한 준비와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손가락을 아까 칼에 깊게?신경같은게 보일정도로 베였는데 피는아까보다는 덜나서 많이는 안나는데 색이 이러는데왜그러는건가요 글고 꼬매야할까요?
캔에 손가락 안쪽 관절 부분을 베었습니다. 처음에 피가 굳어서 상처가 벌어져 있었는데 물로 씻고 나니까 상처가 가만히 있을 때는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손가락을 쫙 피면 상처가 조금 벌어지고, 관절부분이라 잘 붙을지 모르겠는데 병원에 가서 꼬매야 할 정도인가요?
손가락을 칼에 베었는데 손톱이랑 같이 나갔어요 병원 안가도 될 정도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