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2형 피검사 igg 정확성과 음성 결과
헤르페스2형 피검사 igg 12주면 엄청 정확한가요? 음성이 떴으면 안걸린거죠?
헤르페스2형 피검사 igg 12주면 엄청 정확한가요? 음성이 떴으면 안걸린거죠?
헤르페스 2형에 대한 IgG 항체 검사는 감염 후 12주가 지나면 높은 정확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12주 후에 음성 결과가 나왔다면, 헤르페스 2형에 감염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검사 결과는 개인의 면역 반응에 따라 다를 수 있고, IgG 항체는 감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으므로, 음성 결과가 나왔다 하더라도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의심되는 증상이 있거나 추가적인 확신이 필요하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추가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의 민감도와 신뢰도는 매우 높은 편이지만, 검사자, 검사 방법, 검사 기관 등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내원하셨던 병원에서 검사 결과에 대해 자세히 상담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헤르페스 6주차 igg igm 전부음성 7주차 50일째 피검사 igg +std12종 균없고 음성입니다 의사선생님이 헤르페스2형 없다고 잊고 지내라는데 7주째 검사해서 음성이면 정확도가 많이 높은가요? 걱정안해도 되겠죠?
안녕하세요. 지난 8월 소변검사에서 헤르페스2형 양성이나왔었고, 지난주 수요일 재소변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왔었습니다. 그리고 그주 일요일에는 좀더 정확한 검사를 위해 피검사(IgG만 검사)를 진행했는데 어제 검사결과 음성이 나왔는데요.. 좀 찾아보니 IgG 검사란 과거에 헤르페스2형에 걸린적이 있었는지를 알아보는 검사로 알고있는데.. 8월 소변검사에서는 양성이고 IgG 검사에서는 음성이라면 8월 소변검사 결과가 단순 부정확한 위양성으로 보는게 맞을까요? 이해가 안가는점은 소변검사가 아무리 부정확하다지만 헤르페스2형 바이러스가 아예 없는데 소변검사에서 바이러스가 있는 양성으로 뜰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소변검사와 피검사를 진행한 병원 의사분과 통화를 나눴을때 비록 더 정확한 피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왔지만 어쨋든 8월 소변검사에서는 양성이 나왔으니 안심하기에는 애매하다? 바이러스가 없는데 소변검사에서 양성이 뜨진않는다?는 식으로 말씀하셔서 피검사결과 음성임에도 불안합니다..ㅠㅠ)
헤르페스2형 피검사 igg 의심관계 12주에 음성이면 음성으로 간주해서 안걸린걸로 생각하고 더이상 걱정안하고 살아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