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 환자의 마비성 장폐색과 기계적 장폐색 동반 가능성은?
크론병으로인해 마비성 장폐색과 기계적장폐색이 같이 올수도있나요? 일단 x-ray시 회장에 폐색 관찰되었고 변비도 있습니다. 이두가지를 고려해봤을때 현재 대상자는 기계적 장폐색과 마비성 장폐색이 같이 왔다고 볼수도있나요?
크론병으로인해 마비성 장폐색과 기계적장폐색이 같이 올수도있나요? 일단 x-ray시 회장에 폐색 관찰되었고 변비도 있습니다. 이두가지를 고려해봤을때 현재 대상자는 기계적 장폐색과 마비성 장폐색이 같이 왔다고 볼수도있나요?
크론병 환자에서 마비성 장폐색과 기계적 장폐색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크론병은 만성 염증성 장 질환으로, 장의 어느 부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장벽의 만성적인 염증과 흉터 형성으로 인해 장의 협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협착은 기계적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한편, 크론병 환자에서는 염증, 감염, 전해질 불균형,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장 운동이 저하되어 마비성 장폐색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X-ray 검사에서 회장에 폐색이 관찰되었고 변비 증상이 있다면, 기계적 장폐색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마비성 장폐색의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추가적인 진단 절차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상급병원 소화기내과 등에서 초음파, CT, MRI, 내시경 등 정밀검사가 필요해 보여요. 따라서 현재 정보만으로는 기계적 장폐색과 마비성 장폐색이 동시에 발생했다고 확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환자의 전반적인 임상 증상, 검사 결과, 그리고 의료진의 평가를 종합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외과적 개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의료진과 긴밀히 협력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머시론이 24제 복용 7일 휴약기인데 휴약기엔 피임효과 없나요?
머시론 1년이상 장기복용중 휴악기에 생리를 안해요 그때그때 다르지만 20일~40일 정도 머시론 복용뒤 항상 7일 휴약기 가지면 생리가 나왔어요 약 복용 전에도 생리는 매우 규칙적이였어요 10월에 마지막 생리후 11월에 휴약기를 가졌는데 무월경이였지만 7일 휴약기후 다시 머시론 복용 했습니다 그리고 12월에 휴약기를 가졌는데 또 무월경입니다 마지막 관계는 11월 휴약기 3일째에 했고 임신 가능성이 있을까요? 그리고 임신이 아니라면 병원에 가봐야될까요?
머시론 피임약 휴약기(7일)를 놓쳤습니다. 휴약기를 지나서 3일뒤에 복용해도 괜찮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