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환자 1.25-OH2 vitD3 검사결과 해석
크론병환자 1.25-OH2 vitD3 검사결과가 12.83 인데1) 보통 정상보다 감소할때 어떤 임상적의의를 지니는지,2) 대상자의 경우 어떤임상적의의를지니는지 알려주세요 3)보통 정상보다 증가할때 어떤임상적의의를 지니는지
크론병환자 1.25-OH2 vitD3 검사결과가 12.83 인데1) 보통 정상보다 감소할때 어떤 임상적의의를 지니는지,2) 대상자의 경우 어떤임상적의의를지니는지 알려주세요 3)보통 정상보다 증가할때 어떤임상적의의를 지니는지
1.25-디하이드록시 비타민 D3 (1.25-OH2 vitD3)는 비타민 D의 활성형태로,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수치가 정상보다 감소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임상적 의의를 지닐 수 있습니다: 1) 비타민 D 결핍: 햇빛 노출 부족, 식단의 비타민 D 섭취 부족, 흡수 장애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신장 기능 저하: 1.25-OH2 vitD3는 신장에서 생성되므로, 신장 기능 저하 시 이 수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3)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 장의 흡수 장애로 인해 비타민 D의 흡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크론병 환자의 경우, 1.25-OH2 vitD3 수치가 12.83으로 감소한 것은 비타민 D의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신장에서의 활성화 과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크론병 환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제로, 비타민 D 보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치료 및 보충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1.25-OH2 vitD3 수치가 정상보다 증가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임상적 의의를 지닐 수 있습니다: 1) 과도한 비타민 D 보충 또는 섭취: 비타민 D의 과다 섭취로 인해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D 독성의 초기 증상으로는 식욕 상실, 메스꺼움 및 구토가 있으며, 그 후에는 쇠약, 초조함 및 고혈압 증상이 이어질 수 있어요. 칼슘 수치가 높으므로 칼슘이 신체 전체, 특히 신장, 혈관, 폐 및 심장에 축적될 수 있다고 해요. 2) 고칼슘혈증: 비타민 D 수치가 과도하게 높으면 혈중 칼슘 수치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일부 유전적 질환 또는 질병 상태: 특정 유전적 질환 또는 질병 상태에서 비타민 D 대사가 증가하여 수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와 증상, 그리고 다른 검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크론으로인해 아자프린, 펜타사, 훼로바유, 디카맥스,소론도정 복용중인데 요검사결과가 소변색이 dark yellow 고 요비중이 1.033 케톤이+ 10 검출, 유로빌리노겐 +2 이던데 원인이 뭐죠?
크론병이고철결핍성빈혈도있고 소론도정 먹고있습니다 두가지 검사결과의 원인이 궁금한데요 -IDMS traceable MDRD-eGFR 의 결과가140.30/169.40/133.93이 나오고 -eGFR(CKD EPI 2009)의 결과가 129.83/138.84/127.70이 나왔는데 크론병과 직접적연관있나요? 없다면 이런결과가 나올수도있는 크론병치료약물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검사명이 Both S-I joint 와 pelvis AP면 둘다 1)엑스레이 인가요? 결과는 sclerotic arthrosis SIJs , both 라고 되어있던데 .. 2)이건정확히 무슨뜻이며 크론병인데 이게 관찰될수있나요? 크론병과 3)이검사결과가 어떤 상관관계가있는건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