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내시경 후 헬리코박터균 양성 의심, 음성 결과로도 제균 약 처방 가능할까요?
제가 위내시경을 했는데 위에 헬리코박터균이 있는거 같다해서 조직검사를 맡기고 결과를 들었는데 음성이라고 하더군요 의사선생님은 육안으로 보았을때 분명 있는거 같은데 위산 분비 억제제 같은 약을 먹어서 음성으로 나올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이럴 경우엔 그냥 비대면 진료를 통해 헬리코박터균 제균하는 약을 처방받아서 먹어도 될까요 ?
제가 위내시경을 했는데 위에 헬리코박터균이 있는거 같다해서 조직검사를 맡기고 결과를 들었는데 음성이라고 하더군요 의사선생님은 육안으로 보았을때 분명 있는거 같은데 위산 분비 억제제 같은 약을 먹어서 음성으로 나올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이럴 경우엔 그냥 비대면 진료를 통해 헬리코박터균 제균하는 약을 처방받아서 먹어도 될까요 ?
위내시경 검사 후 헬리코박터균 감염 여부가 의심되는 경우, 조직검사 결과가 음성이라도 육안으로 감염이 의심될 때는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요소호기검사(Urea Breath Test)나 대변 항원 검사 등이 있어요. 위산 분비 억제제를 복용 중이라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을 중단한 후 재검사를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를 통해 제균 치료를 받는 것은 가능하지만, 정확한 진단 없이 제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아요. 제균 치료는 항생제를 포함한 약물 복합 요법으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항생제 내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를 확실히 확인한 후, 제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위 내시경 검사 상 헬리코박터 균 감염을 의심하거나 위험이 되는 위염 증상 등이 없다면 다음 건강검진 시 항목에 포함하여 확인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꼭 확인해주세요.
2월경 A라는 병원에서 건강검진 위내시경에서 헬리코박터균 양성으로 나왔어요. 이후 4월 B라는 병원에서 위내시경을 다시 했는데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위내시경 하면서 헬리코박터균 양성은 처음이었고 두 병원 의사선생님과 얘기 했는데 모두 자신들의 내시경 결과가 맞다고 하니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위내시경 결과 헬리코박터균이 나왔어요. 직장인이ㅏ 시간이 자유롭지 못한데 제균제 처방을 받을 수 있나요?
위내시경 하지않고 헬리코박터균 요소호기 검사 가능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