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개월 아기의 미열과 열이 오르는 상황,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7개월 아기 입니다 낮부터 자꾸 기침을 하는거 같더니 이마는 37.2도 정도로 미열이 살짝 있는정도인데 목 부분은 너무 뜨거워서 비접촉 체온계로 재보니 38.4부가 나와요 열이 이제 오르려고 이런건지 열 보초 서야하는건지 이런상황일때 어떻게 해주면 좋은건지 모르겠어요 옷도 얇게 입혀야할까요?
27개월 아기 입니다 낮부터 자꾸 기침을 하는거 같더니 이마는 37.2도 정도로 미열이 살짝 있는정도인데 목 부분은 너무 뜨거워서 비접촉 체온계로 재보니 38.4부가 나와요 열이 이제 오르려고 이런건지 열 보초 서야하는건지 이런상황일때 어떻게 해주면 좋은건지 모르겠어요 옷도 얇게 입혀야할까요?
27개월 아기가 기침을 하고 미열이 있는 상황에서 목 부분의 체온이 38.4도로 높게 나타났다면, 아기가 감염에 의한 열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기의 체온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아기의 체온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귀나 항문을 통한 체온 측정을 권장합니다. 비접촉 체온계는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아기가 열이 있을 때는 편안하고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혀주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두껍거나 얇은 옷보다는 적당한 두께의 옷을 입혀서 체온 조절을 도와주세요. 3. 충분한 수분 섭취를 도와주세요. 열이 있을 때는 탈수가 쉽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물이나 이온 음료를 자주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아기의 상태에 따라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열제 사용 전에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5. 아기의 기침이나 다른 증상이 지속되거나 열이 38도 이상으로 지속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6. 아기의 전반적인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시고, 호흡 곤란, 발진, 지속적인 울음, 수유 거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 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아기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상황이 호전되지 않거나 더 악화될 경우 즉시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3개월 아기이고 구토는 안하고어제 38.5도까지 올랐고 지금 39.6도 지금 몸을 바들바들 떨면서 오한이 온거같아요 콧물은 없고 해열제먹으니 열은 떨어졌으며 어제부터 계속 응가를 못했고 배는 아파합니다 자꾸 응가할 자세를 하는디 응가를 못해요 구리고 몸이랑 입술이 파란거같아요
2개월 예방접종 후 열이 납니다. 38도 이하의 미열이 나는데 어떻게대처해줘야 할까요.
5개월아기 피곤할때 열이 오르기도하나요? 미열정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