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배란성 부정출혈의 원리와 임신 가능성
병원에서 항문 초음파 검사로 무배란성 부정출혈 진단을 받았습니다. 무배란인데 부정출혈이 일어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출혈중에 임신은 가능한가요?
병원에서 항문 초음파 검사로 무배란성 부정출혈 진단을 받았습니다. 무배란인데 부정출혈이 일어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출혈중에 임신은 가능한가요?
무배란성 부정출혈은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해요. 정상적인 생리 주기에서는 배란 후 황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자궁 내막을 유지하고, 임신이 되지 않으면 이 내막이 탈락하면서 생리가 시작되죠. 그러나 무배란 상태에서는 이러한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자궁 내막이 불규칙하게 탈락하면서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어요. 무배란성 기능성 출혈은 부정출혈로 생리지연과의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스트레스 등이 부정출혈과 생리지연의 원인이 되므로 간접적인 연관성은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되어요. 무배란 상태에서는 배란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임신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무배란성 부정출혈이 있는 동안에는 임신 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무배란 상태가 언제든지 배란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절한 피임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부정출혈이 자궁의 내막이 떨어져 나오면서 발생할 경우라면 임신 가능성이 낮을 수 있으나, 생리 끝날 즈음 혹은 생리가 끝난 직후에 관계를 해도 배란기와 기간이 겹치는 등 임신 확률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임신 가능성이 없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려워요. 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꼭 확인해주세요.
경구피임약을 먹으면 배란이 억제돼서 임신이 불가능하다고 하셨는데 배란이 억제되는 거면 휴약기간 7일중에 생리를 하는 건 무슨 원리인가요? 경구피임약 먹는 중에 배란은 언제 되고 배란기와 가임기는 언제인지 궁금합니다.
무배란성 부정출혈이 생리로 변할 수도 있나요? 산부인과에서 무배란성 부정출혈 진단을 받고, 그날 출혈량이 줄어들고 있었는데 다음날부터 다시 출혈이 조금 있더니 지금 4일 쯤 지났는데 생리처럼 붉은 피가 나오기 시작했어요. 원래 무배란성도 이럴 수 있는건가요? 기간은 1주일 째 이러는데 이럴 수 있나요? 무배란성 부정출혈이 일어나는 원리는 뭔가요?
무배란성 부정출혈이 일어나는 중엔 자궁내막이 탈락하고 있는건데 임신이 될 수가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