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금이 간 부분 레진치료 후 신경치료 계속해야 할까요?
신경치료중인 치아가 한번 더 금이가서 일부분이 흔들립니다. 이런 경우에는 금이 간 부분에 레진치료를 받은 후 신경치료를 계속 진행해야할까요?
신경치료중인 치아가 한번 더 금이가서 일부분이 흔들립니다. 이런 경우에는 금이 간 부분에 레진치료를 받은 후 신경치료를 계속 진행해야할까요?
치아에 금이 가고 일부분이 흔들린다면, 레진치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어요. 이미 신경치료를 받고 계신 상태라면, 신경치료를 계속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신경치료를 통해 치아 내부의 감염을 제거하고 치아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죠. 더 나아가, 금이 간 부분이 심각하다면 크라운 치료를 고려해볼 수도 있습니다. 치아의 상태나 신경 조직의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위해서는 치과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치료를 지연하게 되면 치아를 보존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으니, 가능한 빨리 치과를 방문하셔서 상황을 점검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 치경부마모증으로 레진치료를 받을때는 자연치아를 깎고 레진처리하는 것으로 아는데. 자연치아 '교합부분'도 깎아 레진처리하나요? 2. 제가 잇몸과 치아 사이 부분에 레진치료를 받았는데 이 부분이 오돌토돌 거친 느낌이 있어요. 그런데 치경부가 아닌 원래 살아있던 치아 표면에도 오돌토돌한 느낌이 있습니다. 이건 자연치아 잘 살아있는데 깎아서 레진처리한건가요? 3. 치경부 마모증으로 레진치료 받았을때도 교합이 달라질수있나요?
앞니 신경치료를 했는데 유지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진행했어요. 그런데 신경치료 마지막에 레진으로 막는 과정에서 옆 치아들과 연결되어 있는 유지장치는 안 끊어졌지만 앞니에 부착되어있는 유지장치의 가운데 부분이 끊어졌어요. 이런 경우 치아가 이동하거나 그러진 않을까요 ? 또한 신경치료 끝나고 바로 라면같은 뜨거운 음식을 먹어도 될까요 ?
1. 사람의 치아에 레진을 씌워두면 정말 티가 1도 안나는데(뭐가 자연치아이고 레진인지 구분x정도로 색이 너무 동일)치과의사쌤들은 레진과 치아를 정말 완벽하게 세밀하게 구분하실 수 있나요? 아니면 대충 이 정도 범위에 레진치료를 했구나 정도로만 구분하실 수 있나요? 2. 치경부마모증으로 잇몸과 치아 사이를 레진으로 떼울 경우 잇몸이 더 내려앉을수있다는 소리가 있던데 사실인가요? 근거없는 소리인가요? 레진치료를 재치료할때마다 잇몸이 더 내려앉나요? 3. 레진치료 후 떨어지면 이전에 했던 레진을 다 갈고 자연치아도 어느정도 삭제한 다음 충전하나요? 아니면 이전 레진만 조금 삭제한 후 다시 레진 치료하나요? 떨어진 레진 재치료 과정이 궁금합니다. 4. 레진 재치료 질문. 레진 일주일만에 재치료시 자연치아를 얼마나 많이 갈아내나요? 최대한 적게 간다면 얼마나 갈리나요? 의사에게 요청하면 되나요? 구체적으로 몇mm인지? 솔직하고 구체적인 답변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