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교 후 질염과 헤르페스, 관계가 있을까요?
두 달 전에 성교 후 질염 증상이 있어서 관계로부터 한 2주 뒤에 Std 검사를 받았는데, 클라미디아만 검출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성기에 수포가 올라와서 산부인과에 가보니 헤르페스라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어떤 연구에서 질염이 있으면 헤르페스 바이러스 증식이 급증한다고 하던데, 첫 Std에서는 헤르페스가 검출되진 않았거든요. 그 후에 관계가 없었는데 헤르페스만 나중에 나올 수 있나요?
두 달 전에 성교 후 질염 증상이 있어서 관계로부터 한 2주 뒤에 Std 검사를 받았는데, 클라미디아만 검출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성기에 수포가 올라와서 산부인과에 가보니 헤르페스라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어떤 연구에서 질염이 있으면 헤르페스 바이러스 증식이 급증한다고 하던데, 첫 Std에서는 헤르페스가 검출되진 않았거든요. 그 후에 관계가 없었는데 헤르페스만 나중에 나올 수 있나요?
첫 번째 성병 검사에서 클라미디아만 검출되었고, 이후 성관계가 없었음에도 헤르페스가 발견되었다면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잠복기를 가지고 있어서, 첫 번째 검사 당시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거나 바이러스의 양이 검출 가능한 수준에 이르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기간에도 몸 안에 존재할 수 있으며, 면역 체계의 변화, 스트레스, 다른 감염 등의 요인으로 인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헤르페스 검사는 일반적인 성병 검사 패널에 항상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검사에서 헤르페스에 대한 구체적인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3. 헤르페스는 피부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으며, 성관계 외에도 감염된 사람의 피부나 분비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관계가 없었다 하더라도 다른 경로를 통해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질염이 있을 때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증식이 촉진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나, 이는 질염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을 직접적으로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질염으로 인한 염증 반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헤르페스 감염은 잠복기를 가지고 있고, 첫 번째 성병 검사에서 검출되지 않았더라도 나중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구강성교후 헤르페스가 옮았던 것 같고 그 이후에 다른사람과 성관계를 가졌을때 구강성교를 안했음에도 옮을 수 있나요?
헤르페스 2형 전염 후 몸살 관계는 안했고 구강성교만 받았는데 다음날 바로 몸살이 났습니다. 헤르페스 증상에 몸살이 있던데 전염됐다면 다음날 바로 몸살 기운이 생길 수 있나요? 성기에 쓰라림은 있지만 구강성교로 인한 마찰로 생각되고 아직 포진은 없습니다. 헤르페스 증상으로 포진이 안 생기더라도 몸살이 생길 수 있나요?
헤르페스 1형으로 입술포진이 났는데 성교 후 성관계를 했으면 둘 다 헤르페스2형에 걸리게 된 건 가요?? 그렇게 되면 헤르페스는 아예 치유할 수 없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