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진료 중 어금니에 gi 치료 가능하고 유지기간은?
치과진료를 봤는데 26번 치아와 36번 치아에 충치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치료방법으로는 gi 또는 크라운을 추천해주셨는데. 레진으로 치료하면 시릴수가 있답니다. 어금니에 gi를 하는 경우가 있나요? 어금니를 gi로 떼울경우 유지기간이 어떻게 될까요? 어금니 gi의 장단점 좀 알려주세요. 참고로 치아교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치과진료를 봤는데 26번 치아와 36번 치아에 충치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치료방법으로는 gi 또는 크라운을 추천해주셨는데. 레진으로 치료하면 시릴수가 있답니다. 어금니에 gi를 하는 경우가 있나요? 어금니를 gi로 떼울경우 유지기간이 어떻게 될까요? 어금니 gi의 장단점 좀 알려주세요. 참고로 치아교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어금니에 글래스아이오노머(GI)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GI는 충치가 심하지 않은 경우나 임시적인 치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치아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접착력이 좋고, 불소를 방출하여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치아 색상과 유사하여 심미적으로도 만족스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구성이 레진이나 크라운에 비해 떨어질 수 있고, 어금니처럼 씹는 힘이 많이 가해지는 부위에는 강도가 약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되거나 변색될 수 있습니다. 어금니에 GI를 사용할 경우 유지기간은 일반적으로 2~5년 정도로 예상할 수 있지만, 이는 개인의 구강 상태나 사용 습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치아 교정을 앞두고 계시다면, 교정 중에는 치아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은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내구성을 고려하여 크라운을 선택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종 결정은 치과의 충분한 상담 후에 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 어금니 충치치료 레진과 gi 차이점과 장단점이 뭔가요? 2. 그리고 gi와 레진 모두 치아와의 화학적접착인가요? 3. 또 gi와 레진 중 치아와 더 접착이 잘되는 재료는 뭔가요? 4. Gi와 레진의 유지기간 좀 알려주세요. 5. Gi로 어금니 충치치료 후 보통 자연치아가 깨지나요? Gi가 깨지나요? 6. 참고로 어금니 교합부분 둘다 gi치료를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이 경우 마주보는 어금니 둘다 gi 이기때문에 치아나 gi가 깨질 가능성이 적나요? 아니면 오히려 마주보는 교합면이 다 gi로 더 잘깨지나요?
임시치아와 gi중 뭐가 어금니 충치치료에 더 적함한가요? 그리고 이유는 뭔가요? 각 치료의 유지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각 치료 중 더 잘깨지는 치료가 뭔거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1) 어금니 충치 치료로 Gi랑 레진 중 치아와 재료 간 미세한 틈이 생겨 2차충치가 생길 확률이 더 높은 재료는 뭔가요? 2)제가 오늘 충치진료를 받았는데 26번과 36번 치아에 충치가 있다고 합니다. 즉, 마주보는 2개의 어금니에 충치가 있는 것이죠. 그런데 충치치료 재료로 gi 혹은 크라운을 추천하는겁니다. 레진치료를 생각하고 갔는데 레진을 받으면 이가 시릴수있다는 겁니다. Gi는 잘깨진다하여 꺼려지고 크라운은 아직 24세로 어리고, 올해 치아교정을 앞두고있어 꺼려집니다. 어떻게하는게 좋을까요? 3) 이 상황에 대학치과병원에서 다시 진료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