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내시경 후 추가 정밀검사, 암 가능성은 낮은가요?
대장내시경 후 용종인지 확인차 조직검사를 했는데 일주일 후 추가정밀 검사 요청이 필요하다 연락이 왔습니다 이유를 물어보니 이유는 없고 병리과?? 에서 요청이 왔다고 합니다 추가비용 7만원정도 나온다네요 이게 암이면 내시경에서 발견 후 조직검사에서 죄다 나오지 않나요? 이유도 없이 병리과? 요청으로 정밀검사 들어간거면 암은 아니고 사소한거겠죠?
대장내시경 후 용종인지 확인차 조직검사를 했는데 일주일 후 추가정밀 검사 요청이 필요하다 연락이 왔습니다 이유를 물어보니 이유는 없고 병리과?? 에서 요청이 왔다고 합니다 추가비용 7만원정도 나온다네요 이게 암이면 내시경에서 발견 후 조직검사에서 죄다 나오지 않나요? 이유도 없이 병리과? 요청으로 정밀검사 들어간거면 암은 아니고 사소한거겠죠?
질문자님의 걱정이 크실 것 같습니다. 추가 정밀검사 요청이 왔다고 해서 반드시 암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병리과에서 조직 샘플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더 명확한 진단을 위해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첫 조직검사에서 모든 결과가 완벽하게 나오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는 샘플의 크기, 채취 부위, 또는 조직의 특성 때문일 수 있습니다. 병리의사가 조직을 검사하면서 추가적인 특수 염색이나 면역조직화학검사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수 있습니다.
상급병원에서는 더 정밀한 검사 장비와 기술을 통해 기존 검사 결과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재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추가 정밀검사 요청이 왔다고 해서 반드시 심각한 상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의료진의 권고에 따라 추가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어머니가 내시경 검사 결과 대장에 혹이 발견 됐다고 합니다. 병원에서 추가로 CT 정밀 검사를 예약했다고 하는데 이런 경우 대장암을 염두해두고 검사하는건가요? 혹이 발견 됐을때 CT로 추가 검사를 하는것이 일반적인 경우인가요? 또 대장에 혹이 발견된 경우 대장암일 가능성이 큰가요?
초기 대장암은 대장내시경으로밖에 검사못하나요? 0~1기 대장암이나 선종을내시경 이외의방법으로 진단가능한지, 혹은 이러한 신체상황(가령 쾌변같은 생리현상)이 있을때 대장암과 양립할수없다던지 이런 구별방법없이 오직 내시경뿐인가요? 글고 대장내시경 비수면은 안전한가요? 수면내시경은 사망위험 있다던데 비수면은 그런거없죠? 비수면으로 대장 내시경받을때 보통 통증을 어느정도느끼나요?
2023년도에 대장내시경 중 선종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럼 검진년도마다 위.대장내시경 해야하는건가요? 그리고 내시경말고 다른 검사도 추가로 해야나요? 추적검사란 말이 무슨 뜻인가요? 자세히 가르쳐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