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성교 후 헤르페스가 목에 감염될 수 있나요?
구강성교를 한 후 STD 검사를했는데 헤르페스가 나왔습니다. 목에도 감염될수있나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구강성교를 한 후 STD 검사를했는데 헤르페스가 나왔습니다. 목에도 감염될수있나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구강성교를 통해 헤르페스(단순포진)가 전염될 수 있고, 실제로 입안이나 목, 인두 쪽에도 감염이 생길 수 있어요.
특히 헤르페스 1형(HSV-1)은 원래 입 주변에 흔한 형태이지만, 요즘은 성관계를 통해 성기 쪽뿐 아니라 구강에서도 2형(HSV-2)이 발견되는 경우도 늘고 있는데요.
그래서 성기 쪽에 감염된 상대와 구강성교를 했을 경우, 상대가 증상이 없더라도 구강 쪽으로 헤르페스가 전파될 수 있어요.
목에 감염이 되면 대개는 입안 궤양, 인후통, 연하곤란(삼키기 어려움), 목 림프절 통증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할 경우 구강인두포진이라는 형태로 발병할 수 있어요.
하지만 무증상 감염도 흔해서, 확진 전에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도 있어요.
만약 검사에서 헤르페스가 확인되었고, 최근에 목이 아프거나 이물감, 열감, 궤양 등이 느껴진다면 구강과 인두 쪽에도 감염이 있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어요.
이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예: 아시클로버, 발라시클로버)를 복용하면 증상 완화와 재발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는 증상이 없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는 시기(바이러스 배출 시기)가 있기 때문에, 파트너와의 성관계 시 콘돔 사용이나 구강성교 자제 등의 조심이 필요하고요.
질문자님도 면역이 떨어질 때 증상이 재발할 수 있으니, 스트레스나 과로, 감기 등으로 몸이 약해졌을 때는 특히 구강 주위 물집이나 궤양이 생기는지 살펴보시는 게 좋아요.
지금 단계에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병원에서 현재 감염 부위와 증상에 따라 항바이러스 치료 여부를 판단받고, 파트너에게도 검사 여부를 공유하는 게 바람직해요.
조기에 발견하고 잘 관리하면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지낼 수 있으니, 너무 불안해하지 마시고 차분히 대응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헤르페스, 이름은 들어봤지만 1형과 2형의 정확한 차이를 잘 모른다면 클릭해 보세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헤르페스, Hpv, 유레아플라즈마, 칸디다에 감염된 사람과의 구강성교 후 4개 중 하나의 성병만 감염될 수도 있나요?
구강성교를 통해서 에이즈가 감염될수 있나요? 만약 여성이 감염자라면 구강성교후 남자가 감염이 될수 있나요?
구강성교 후에 목에서 피가 나는데 이게 구강성교때문이 맞을까요? 구강성교하고 목에 피가 날 수도 있나요? 또한 구강성교때문에 피가 난다면 별 다른 위험은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