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약 부작용으로 근육통 발생 시 처방 방법은?
고지혈증약(로스톤정5mg) 복용후 부작용으로 근육통의 증상이 나타났는데 이럴 경우의 어떻게 처방을 받나요? 1. 몇일에 한번씩 간격을 두고 먹나요? 아니면 어느정도 참을 만하면 그냥 복용하나요? 2. 대체제인 에제티미브를 처방해주나요? 3. 대체제인 에제티미브와 스타틴계열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고지혈증약(로스톤정5mg) 복용후 부작용으로 근육통의 증상이 나타났는데 이럴 경우의 어떻게 처방을 받나요? 1. 몇일에 한번씩 간격을 두고 먹나요? 아니면 어느정도 참을 만하면 그냥 복용하나요? 2. 대체제인 에제티미브를 처방해주나요? 3. 대체제인 에제티미브와 스타틴계열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로스톤정(스타틴 계열 약물) 복용 후 근육통이 발생했다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1. 복용 간격 조정: 근육통이 심하지 않은 경우, 의사와 상의하여 복용 간격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일 복용하는 대신 이틀에 한 번 복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2. 대체제 처방: 근육통이 지속되거나 심각한 경우, 의사는 에제티미브와 같은 대체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에제티미브는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로, 스타틴과는 다른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스타틴과 에제티미브의 차이점: 스타틴은 주로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여 혈중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반면, 에제티미브는 소장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여 작용합니다. 이로 인해 두 약물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게 됩니다. 근육통 증상이 계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즉시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약물의 종류나 용량을 조정하거나 다른 치료 방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고지혈증약 점심에 복용후 5~6시간 동안은 근육통(허리디스크의 방사통과 비슷한 위치와 증상) 시간이 지나 6~7시인 저녁쯤에는 거의 사라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복용후 특정시간 동안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나요?
현재 복용중인 약(산디문,우루사)이 있고, 최근 콜레스테롤수치가 높아 처방받은 고지혈증약(로스바탄정10)을 같이 복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 반드시 복용해야한다고 하셨는데..부작용으로 심한 근육통이와서 중단 중입니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고지혈증으로 인해 10년정도 장기간 크레스토정5mg를 복용중입니다. 그런데 1년전부터 근육통이 생겨서 삭신이 쑤시고, 변비도 생기고, 소화불량 증세도 있으며, 어지럼증도 1번 경험했습니다. 그래서 검색해보니 고지혈증약인 크레스토정 부작용 같습니다. 하지만 고지혈증약은 함부로 중단하면 안되서 부작용을 줄여줄 영양제를 함께 복용하고 싶은데요, 1. 코엔자임큐텐 영양제를 복용하면 근육통이 사라지고, 고지혈증약 부작용 완화에 도움이 될까요? 2. 코엔자임큐텐 영양제와 고지혈증 약을 함께 먹어도 되나요? 3. 함께 섭치해도 된다면, 고지혈증약은 잠자기전에 먹는데, 코엔자임큐텐 영양제는 언제 섭취하면 되나요? 4. 코엔자임큐텐 영양제는 어떤 성분을 봐야 하는지 모르겠고, 종류가 다양한데, 어느것이 좋은지 추천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