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 검출 후 포진이 없을 때 성관계를 가질 경우, 전염 확률은 어느 정도인가요?
균검사 결과에서 헤르페스가 검출 됐는데 포진은 없었을 때 관계를 해도 전염될 확률이 높은가요 ?
균검사 결과에서 헤르페스가 검출 됐는데 포진은 없었을 때 관계를 해도 전염될 확률이 높은가요 ?
질문자님,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해 걱정하시는 것 같아요. 헤르페스는 포진이 없어도 전파될 수 있어요. 피부나 점막이 접촉될 때, 특히 입술이나 성기 등에서는 전파 가능성이 더 커요.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헤르페스는 수포가 생긴 경우에 가장 전파력이 강하지만,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성 접촉을 통해 50~70%의 확률로 전파될 수 있어요. 그래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좋아요. 라텍스 콘돔을 꾸준히 사용하면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어요. 성병 진단 후 치료를 시작하면,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성관계를 자제하는 것이 성병 전파를 막는 데 필요해요. 성병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거나 안전하지 않은 성행위를 한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아요. 요약하면, 헤르페스는 포진이 없어도 전파될 수 있으며,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성관계를 피하는 것이 좋아요. 또한, 성병 예방을 위해 라텍스 콘돔을 꾸준히 사용하고, 성병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사후피임약을 6/30에 먹고 7/5~7/9,10까지 출혈이 있었는데 부정출혈이라기엔 생리대 중형을 꽉 채울만큼 생리처럼 피가 많이 났어요 원래 생리기간은 7/22부터 시작인데 아직 생리할 기미가 보이진 않아요. 저때 나온 출혈이 생리일 가능성이 높나요?
사후피임약 복용 후 부정출혈이 4-5일동안 지속되고 있는데 생리일 가능성보다 부정출혈일 가능성이 높나요?
11월 18일에 사후피임약을 복용하였고 12월 1일 생리처럼 나옵니다. 원래 예정일은 12월 4일인데 생리인가요 부정출혈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