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걸이 녹슬었는데 피부 화끈거림, 쇳독 가능성과 대처법
목걸이가 땀과 썬크림에 닿아 녹슬었는데, 모르고 착용했습니다. 이후 녹슨 걸 닦는다고 물티슈에 덧댄 손으로 문지르다가 피부가 빨개졌어요. 상처는 안났는데 화끈거리는 느낌이 들어요. 일단 목걸이랑 닿은 부분은 비누로 씻고, 소독약으로 소독했습니다. 쇳독, 알레르기가 일어날 수도 있나요? 보통 쇳독은 몇분뒤에 발현되나요? 비누칠로 씻고 소독했으면 예방하기 위해 뭐를 더 해야하나요?
목걸이가 땀과 썬크림에 닿아 녹슬었는데, 모르고 착용했습니다. 이후 녹슨 걸 닦는다고 물티슈에 덧댄 손으로 문지르다가 피부가 빨개졌어요. 상처는 안났는데 화끈거리는 느낌이 들어요. 일단 목걸이랑 닿은 부분은 비누로 씻고, 소독약으로 소독했습니다. 쇳독, 알레르기가 일어날 수도 있나요? 보통 쇳독은 몇분뒤에 발현되나요? 비누칠로 씻고 소독했으면 예방하기 위해 뭐를 더 해야하나요?
녹슨 목걸이로 인한 피부의 화끈거림은 주로 금속 알레르기 반응이나 피부 자극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쇳독(tetanus)은 주로 녹슨 금속에 의한 상처를 통해 감염되는 경우에 발생하며, 피부에 단순히 녹이 닿았다고 해서 쇳독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쇳독균은 깊은 상처를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가야 감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처가 없다면 쇳독의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쇳독의 증상은 감염 후 일반적으로 3일에서 21일 사이에 나타나며, 평균적으로는 약 10일 정도 소요됩니다. 증상에는 근육 경련, 경직, 삼키기 어려움, 발열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피부가 화끈거리는 것은 금속 알레르기 반응이나 자극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이미 비누로 씻고 소독약으로 소독한 것은 적절한 조치입니다. 추가적으로, 피부가 진정될 수 있도록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함유 연고를 바르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 사용은 의사의 처방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에는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이나 피부 자극이 의심되는 경우, 앞으로는 녹슨 금속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금속을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피부가 많이 벗겨졌을 경우엔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면 피부색이 변색 될 수 있으니 외출 시 선크림을 꼭 바르는 것도 잊지 마세요.
꼭 확인해주세요.